우리 신체 가운데서도 무릎은 상하로 가해지는 체중으로 인한 압력을 버티고, 가해지는 외력을 적당히 분산시켜 준다.

걷거나 뛸 때 무릎관절이 부드럽게 구부러지는 것은 당연하면서도 필수사항이다. 하지만 노화가 진행되면서 무릎 속의 연골이 닳거나 운동부족으로 체중을 버티는 근력의 약화, 자세나 기타 생활습관상의 문제로 관절이 손상되면 여러가지 질환들이 야기된다.

대표적인 무릎관절질환이 바로 퇴행성관절염이다. 병명대로 신체가 퇴행되면서 무릎 기능도 저하되는 증상이다. 무릎 주변의 통증과 뻣뻣함, 걷거나 앉기가 어려워지는게 주요 증상이다. 

초기에는 계단오르기나 양반다리로 앉았다 일어날 때, 장시간 걷거나 뛰었을 때에만 통증이 발생하거나 스트레칭시 무릎 주변이 뻐근하게 당기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상태를 방치할 경우 무릎 사용량을 견디지 못해 과부하가 일어나 연골이 완전히 닳거나 무릎이 붓고, 가만히 있어도 아픈 중기와 말기로 진행될 수 있다.

노년기 질환으로만 여겨졌던 퇴행성관절염은 이제는 중년층은 물론이고 20,30대 청년층에서도 퇴행성관절염환자가 많아졌다.

정형외과 연세와이재활의학과(경기 광주) 김형빈 대표원장[사진]은 "퇴행성관절염환자 연령대가 낮아진 이유는 컴퓨터, 스마트폰 등의 잦은 사용으로 규칙적인 근력운동이 부족해진 탓이다. 또한 관절에 무리한 과격한 운동이나 지나친 체중감량, 장시간 나쁜자세 등도 원인"이라고 말했다. 

환자 나이가 다양해진 만큼 퇴행성관절염 치료법도 과거와 달라졌다. 김 원장은 "초, 중기에는 대부분 규칙적인 근력운동, 바른자세와 보행교육, 약물 및 주사치료로도 상태를 충분히 호전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병변 부위에 강력한 고에너지 충격파로 근골격계를 자극해 세포막을 물리적으로 회복시키는 체외충격파요법, 연골을 재생시킬 수 있는 주사요법도 활용할만하다고 김 원장은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