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국내에서 이용되는 편두통치료제의 안전성과 치료효과가 낮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왔다. 대한두통학회와 대한신경과학회가 국내 신경과전문의 442명을 대상으로 편두통 인식 및 치료 실태를 조사해 20일 발표했다.

편두통은 머리가 욱신거리는 증상에 구토나 빛, 소리 공포증 등이 동반되는 고통스러운 질환이지만 겉으로 드러나는 특이 증상이 없어 대부분이 가볍게 생각한다.

이번 조사에서 신경과 전문의의 편두통 유병률이 2배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질환 이해도가 높고 본인의 두통 유형을 잘 파악하는게 중요하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7%는 '편두통환자 고통에 대해 직장과 가정의 이해도가 낮다', 84%는 '질환에 대한 보건당국의 관심이 낮다'고 답했다. 

특히 94%는 '편두통치료시 환자의 삶의 질 개선이 중요하다', 81%는 '만성편두통환자는 삽화편두통 환자보다 사회생활에 어렵다', 88%는 '편두통환자는 자주 우울하다'고 답하는 등 의사들이 보는 편두통환자의 실상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편두통 약물투여를 고려하는 시기는 두통강도와 무관하게 월평균 7.8회 이상 발생하거나 급성기치료제(트립탄)로 조절되지 않는 두통이 월평균 4.5회 이상 발생한 경우였다.

하지만 현재 편두통치료제에 대한 안전성과 만족도에 대해서는 각각 39%와 29%로 낮다. 반면 비용면에서 만족한다는 응답은 68%였다.

이에 대해 조수진 대한두통학회 회장(한림대동탄성심병원 신경과)은 "기존 편두통 예방 치료제들은 고혈압, 우울증, 뇌전증 등을 치료하기 위해 개발됐던 약제로, 이를 편두통 예방약제로 사용하다 보니 환자 상태에 따라 치료효과나 부작용 면에서 한계가 존재했다"고 설명했다. 

조 회장은 "최근에는 치료 효과, 복용 편의성이 개선된 예방 치료제가 속속 등장하고 있는 만큼 두통 환자를 진료하는 의료진이나 편두통 환자의 치료 만족도가 개선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