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관절 수술 시 전신마취 보다는 부분마취가 사망이나 부작용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제대 서울백병원 마취통증의학과 방시라·안은진 교수팀은 국민건강보험 데이터(2009~2015년) 고관절수술시 마취형태 별 사망률과 부작용 발생률을 비교해 영국의학저널 BMJ오픈에 발표했다.

전산마취는 진통, 근육 이완, 진정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마취 방법으로 수술을 하는 동안 마취제를 지속해 주입한다. 전신마취 도중 근육이완제가 투여되기 때문에 스스로 호흡할 수 없어 기계 환기를 실시한다.

부위마취는 수술 부위를 마취하는 방법으로 고관절 수술 시에는 주로 하반신에 시행한다. 다리 신경만 차단하기 때문에 마취제로 인한 전신적인 작용은 없으며, 통증도 느껴지지 않는다. 

분석 대상자는 65세 이상 고관절수술환자 9만 6천여명. 이들을 전신마취군과 부분마취군을 각각 2만 5,593명으로 나누었다.

분석 결과, 사망률은 부분마취군이 전신마취군 보다 낮았다(2.24% 대 2.55%). 입원율(22.8% 대 31.4%)과 인공호흡기 착용률(1.7% 대 4.7%)도 낮았다.

뿐만 아니라 수술 후 고령자에서 나타나는 부작용인 섬망(20.2% 대 22.7%) 뿐만 아니라 뇌출혈과 폐색전증도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분마취와 전신마취의 수술결과 비교(%)
부분마취와 전신마취의 수술결과 비교(%)

한편 고관절수술환자의 나이는 평균 79세이며, 사망률은 2.45%, 여성이 74%를 차지했다. 수술 의료기관은 대학병원이 약 73%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종합병원은 26%를 차지했다.

안은진 교수는 "명확한 기전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마취법 특성이 달라 사망률과 부작용 등에 영향을 주는 것 같다"며 "하지만 혈액 저류, 혈액응고장애, 심장판막질환, 뇌질환 등 기저질환이 있으면 하반신 마취가 전신마취보다 위험할 수 있는 만큼 환자마다 적절한 마취법을 선택하는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방시라 교수는 "고관절 골절 수술 시 전신마취와 부위마취 선택에 대한 문제는 마취통증의학과 의사들 사이에는 지속적으로 논쟁거리"라면서 "이번 연구는 임상적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연구의 한계점이 있지만 우리나라 최초로 건강보험공단 청구자료를 이용한 대규모 최신 데이터를 분석한 연구로서, 고관절 수술 시 부위마취 환자에서 사망률과 부작용, 합병증 감소 등 수술 후 결과에 다양한 이점이 있는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