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고혈압의 목표치가 낮을수록 사망률이 감소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북대의대 조명찬 교수팀은 노인고혈압 목표치와 심뇌혈관질환 발생률과 사망률의 관련성을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이 연구명은 HOWOLD-BP(HOW to Optimize eLDly systolic Blood Pressure Trial)로서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의 의뢰로 실시됐다. 한국 노인고혈압환자를 대상으로 한 최초의 목표혈압 중재연구다.

분석 대상은 메드라인 등 문헌검색 데이터베이스 3곳에서 선택했으며 분석 대상자는 65세 이상 고혈압환자 1만 5천여명. 이들의 혈압은 120mmHg 이상 149mmHg 이하였다.

이들을 목표혈압치를 기준으로 통상 치료군과 엄격 치료군으로 나누어 심혈관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엄격 치료군에서 심혈관질환이 20%, 심혈관질환 사망률 35%, 전체 사망률은 32%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부전 발생은 38%까지 줄어들었다.

목표혈압이 너무 낮으면 인지기능 발생 우려가 있다는 지적도 있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목표혈압치를 낮춰도 인지기능에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부작용에도 차이가 없었다.

교수팀은 그러나 이번 연구가 고령에서 목표혈압에 따른 임상적 효과를 비교한 양질의 연구가 많지 않은데다 한국에서는 관련 연구가 시행된 바도 없다는 점을 단점으로 지적했다.

그러면서 "한국인에 맞는 노인고혈압 관리 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추적관찰을 포함한 양질의 국내 임상 연구가 선행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질병관리본부 정은경 본부장은 "한국인 노인고혈압 환자에서의 적정 목표혈압 기준 및 환자 특성별 맞춤형 관리 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장기추적조사 계획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