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타이드(CGRP)표적 편두통치료제가 출시되면서 향후 편두통치료제의 패러다임 쉬프트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개발 중인 CGRP 표적치료제가 많은 만큼 트립탄계열에 이은 다수의 급성편두통 치료제 등장이 기대되고 있다.

앰겔러티 작용기전(한국릴리 제공)
앰겔러티 작용기전(한국릴리 제공)

현재 개발 중인 CGRP 표적치료제는 3가지 기전이다. 통증 유발 신경전달 물질 중 하나인 CGRP와 수용체의 차단은 모두 동일지만 CGRP수용체길항제인 소위 게판트계열과 CGRP항체 및 CGRP수용길항체를 차단하는 방식 등 총 3가지다[그림].

2000년대부터 개발되기 시작한 CGRP수용체길항제는 단독으로 혈관을 수축시키지는 않지만 삼차신경 끝에서 방출되는 CGRP에 의해 유발되는 혈장단백누출과 신경원성염증, 혈관확장을 억제한다.

하지만 올세게판트와 텔카게판트 등 몇가지 약물이 간기능장애로 개발이 중단됐다. 그러다가 부작용이 없는 바이오헤븐의 리메게판트(경구제)와 앨러간의 우브로게판트가 개발돼 올해 급성편두통에 대한 효과와 안전성이 확인됐다. 이들 약물은 3상 임상시험을 통해 효과와 안전성이 입증됐다. 모두 경구제다.

CGRP와 CGRP수용체에 작용하는 생물학적제제도 개발 중이다. 갈카네주맙과 프레마네주맙, 엡티네주맙은 항CGRP항체이고 에레누맙은 항CGRP수용길항체다. 정맥주사제인 엡티네주맙 외에는 모두 피하주사제다.

이들 약물은 면역글로불린이라서 혈관뇌관문을 통과하지 않아 중추신경계로 이동하지 못해 반감기가 길고 효과가 몇주간 단위로 지속된다.

특히 갈카네주맙은 최근 한국릴리아 국내에 앰겔러티라는 제품명을 출시했다. 현재 동일 계열 약물은 테바의 프레마네주맙, 암젠의 에레누맙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릴리는 뇌경색과 심근경색 환자에도 투여할 수 있는 경구 5-HT1F수용체자극제(디탄계 약물) 라스미디탄도 개발 중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