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사증후군환자의 이상지혈증 치료에는 스타틴 단독보다는 페노피브레이트를 병용하는게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고려대의대 김신곤 교수팀은 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코호트(2002~2015)를 이용해 대사증후군 환자의 이상지혈증에 대한 스타틴과 페노피브레이트의 효과를 비교해 영국의학회지 BMJ에 발표했다.

스타틴은 전통적인 이상지혈증치료제다. 하지만 LDL-콜레스테롤 조절에 치우쳐 다른 콜레스테롤 억제를 위해서는 또다른 약물이 필요하다.

페노피브레이트는 주로 중성지방과 HDL 콜레스테롤(HDL-C)에 작용하는 약제(PPAR-α 효용제)로 대규모 임상시험 결과 심혈관질환 위험 억제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페노피브레이트의 실패한 연구 결과가 중성지방이 높지 않은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점에 주목했다. 즉 중성지방이 높은 한국에서는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이번 연구를 실시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스타틴제제(HMG-CoA 환원효소 억제제)를 복용 중인 대사증후군 환자 29,771명. 이들을 페노피브레이트 복용군과 복용하지 않은 군으로 나누어 30개월간 추적관찰했다.

그 결과, 투여군에서 심근경색증, 뇌졸중, 심혈관사망이 26% 줄어들었다. 이같은 효과는 중성지방 수치가 높고 HDL-C이 낮은 환자에서 뚜렷했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근거로 "스타틴을 복용 중이라도 중성지방과 HDL-C이 조절되지 않는다면 페노피브레이트 치료를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