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체활동량이 많으면 건강하고 수명도 연장된다고 알려진 가운데 심뇌혈관질환자에서도 마찬가지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강시혁 교수, 정상우 임상강사 연구팀은 건강보험공단 자료로 심뇌혈관질환과 신체활동량의 연관성을 분석해 유럽심장학회지에 발표했다.

과거 심뇌혈관계질환자는 심장 상태가 좋지 않아 운동 보다는 안정이 우선이었다. 안정 외에는 달리 치료방법이 없었던 탓이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40세 이상의 건강검진 수검자 44만 1,798명(평균 연령 59.5세). 이 가운데 13만명은 심뇌혈관질환을 앓았거나 갖고 있었고, 나머지 31만명은 건강했다.

연구팀은 이들의 신체활동량과 사망률을 비교했다. 신체활동량 측정은  신진대사를 측정하는 MET를 사용했다. 

MET는 신체에 필요한 산소의 양을 의미한다. 예컨대 1MET는 체중 1kg이 1분 동안 사용하는 산소의 양 3.5ml를 의미한다.

분석 결과, 신체활동량이 1주에 500 MET-분 늘어나면 건강한 성인은 사망위험이 7% 줄어들었다. 이에 비해 심뇌혈관질환자에서는 그 2배인 14% 감소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500 MET-분의 신체활동량은 주 5회 30분간 속보에 해당한다. 

심뇌혈관질환자 VS 건강한 사람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사망 위험(분당서울대병원 제공)
심뇌혈관질환자 VS 건강한 사람의 신체활동량에 따른 사망 위험(분당서울대병원 제공)

특히 신체활동량이 500 MET-분이 넘는 경우 건강한 사람의 사망률 감소효과는 늘어나지 않은 반면 심뇌혈관환자에서는 더 증가했다[그림].

대상자의 약 절반은 500 MET-분의 신체활동량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 교수는 "평일에 운동이 어려울 경우 주말에 1시간 15분 정도의 등산으로 보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