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정확히 밝혀지지 않던 암전이 억제유전자에 대한 기전과 역할이 국내연구진에 의해 세계최초로 밝혀져 14일 Nature에 발표됐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백성희 교수[사진]팀은 KAI1이라는 유전자의 암전이 억제효과 확인을 위해 전립선암세포주(LNCaP)와 이 세포주에 KAI1 단백질을 발현시킨 세포주(KAI1/LNCaP)를 만들어 각각 쥐에 주사하고 폐전이 상태를 비교 관찰했다.

그 결과 KAI1 단백질을 발현시킨 쥐의 경우 그렇지 않은 쥐에 비해 폐전이의 빈도가 현저히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 결과를 통해 KAI1유전자가 암전이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진 유전자임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또한 KAI1유전자가 암전이 상태에 따라 어떻게 조절되는지 알기 위해 정상상태의 전립선세포주의 전사조절 기전과 전이단계의 전립선 암세포주의 전사조절 기전을 비교했다.

그 결과 정상 쥐에서는 전사활성인자인 Tip60이 기능하여 KAI1유전자가 암전이 억제기능을 했지만 전이단계에서는 Tip60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KAI1유전자가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

결국 베타카테닌이 증가하면 Tip60이 감소해 KAI1유전자가 정상적인 기능을 못하게 되어 암전이가 촉진되고, 베타카테닌이 감소하면 Tip60이 증가해 KAI1 유전자가 정상 기능을 해 암전이가 억제되는 것이다.

백성희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는 신개념 항암제를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며, 유전자 치료를 통한 암전이 억제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그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연구개발사업의 하나로 실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