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 수입이 늘어나면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률이 줄어든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순환기내과 성지동교수팀(가정의학과 송윤미,순환기내과 홍경표 교수)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2002~2013년) 17만 8천여명의 수입과 건강검진이력, 사인 등을 비교 분석해 유럽예방심장학저널(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대상자를 소득에 따라 상하위 각 30%와 중위 40%로 나누었다. 이들은 정기적인 건강검진 이력이 있지만 허혈성심장질환, 뇌졸중, 심부전 및 암 병력은 없었다.

10년간 추적하는 동안 대상자의 4.1%가 사망했다. 소득 별 사망률은 상위층 3.6%, 하위층 5.5%였다. 하지만 심혈관질환 사망률은 상위층이 0.7%인데 비해 하위층은 1.2%였다.

표. 소득수준 변화에 따른 10년간 심혈관질환 사망률 비교
표. 소득수준 변화에 따른 10년간 심혈관질환 사망률 비교

소득 증감 별 사망률 변화는 상위층의 경우 수입의 오르내림이 있는 경우에는 1%로 낮았지만 소득이 줄어들면 4%로 높아졌다[].

반면 중위층의 사망률은 수입에 오르내림이 있으면 2%인 반면 수입이 고정되거나 줄어든 경우 8~9%로 크게 높아졌다.

하위층의 경우 수입에 변동이 없는 경우 사망률은 13%로 가장 높았다. 

한편 소득 분위를 불문하고 소득의 오르내림이 있는 경우 사망률은 2~4%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소득 분위에 따라 사망률에 차이가 나는 이유는 불건전한 식생활습관을 꼽았다. "하위 소득층은 흡연, 운동부족, 불건강한 식습관 같은 위험요인들의 영향과 함께 고지혈증에 대한 치료 등 적절한 예방 조치를 받지 못하는 등의 요인들이 심혈관질환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 교수는 "소득 양극화를 완화시키는 복지 정책이 복지 자체로서 의미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들의 건강에도 긍정적인 영향을줄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