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절기 알레르기비염 진료환자가 월평균 10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비염이란 외부 항원이 코를 통해 코 점막을 자극시켜서 증상이 나타나는 만성 염증성 질환이다. 맑은 콧물이 지속적으로 흐르고 재채기가 발작적으로 지속되는 경향이 있다. 코점막이 붓는 부종이 보이고 지속적인 코막힘이 나타난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15일 발표한 최근 5년간 진료데이터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17년 기준 혈관운동성 및 알레르기비염 진료환자는 10만명 당 13,503명으로 전체 건보가입자의 13.5%에 해당한다. 

2017년에는 689만명으로 전년 보다 3.7% 증가했으며, 남녀 성별 비율 차이는 약간 줄었지만 청소년 진료환자가 급증했다.

나이별로는  9세 이하가 38.4%로 가장 많았으며 그 다음이 10대(18%)였다. 20대 이상은 9~12%대의 진료 비율을 보였다. 이는 

성별로는 여성이 남성보다 1.2배 많았다. 연령별로는 19세 이하의 청소년에서는 비슷했지만 30대는 여성이 1.7배, 20대는 여성이 1.5배 많았다. 

하지만 40대 이상으로 갈수록 줄어들어 70세 이상에서는 남성의 0.7배로 오히려 적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이비인후과 정효진 교수는 어린이와 여성환자가 많은 이유 대해 항원에 대한 감작이 소아기에 발생한다는 점과 유전적 소인을 원인으로 꼽았다.

정 교수에 따르면 어릴 때부터 알레르기 질환(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 비염, 기관지 천식)은 순차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다가 나이가 들면서 증상이 약해지며, 알레르기 피부반응의 반응 정도도 감소하는게 일반적이다.

또한 어린이에서는 편도 아데노이드 비대, 불완전한 부비동의 발달 및 부비동염 등의 원인으로 성인에 비해 증상이 쉽게 나타날 수 있다진료 환자 수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많은 이유다.

여성의 경우 생리 중이나 임신 시에 내분비계 호르몬, 특히 혈중 에스트로젠 수치의 변화에 따라 심각한 코막힘, 수양성 비루 등의 증상이 심해질 수 있다. 

특히 임신 후기에는 심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폐경 후 호르몬 변화로 비점막이 위축될 수 있고, 따라서 폐경여성에서는 관련 증상들이 남성과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 

어린이와 청소년에서 환자가 급증한 이유에 대해 정 교수는 "다 위생적인 환경에서 성장하고 있는 소아 및 청소년층의 경우, 이로 인해 알레르기 질환에는 취약할 수 있다"면서 "청소년층의 경우 물리적, 환경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증가율이 큰 것으로 사료되며, 또한 최근 미세먼지 등으로 인한 대기오염의 악화로 비염 증상으로 내원하는 환자가 이전보다 증가하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