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암환자에서 뇌졸중 위험이 높다는 연구분석 결과가 나왔다.

삼성서울병원 신경과 서우근 교수, 고려대 의학통계학교실 이준영 교수 연구팀은 암과 뇌졸중의 인과관계에 대해 국제학술지 ‘프론티어인뉴롤로지(Frontiers in Neurology)에 발표했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암과 뇌졸중의 관련성을 밝힌 연구는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대상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국가표본코호트(2002~2015년)의 암환자 2만 707명과 일반인 67만 5,594명의 뇌졸중 발생 위험을 비교했다. 

그 결과, 암환자는 일반인에 비해 모든 뇌졸중 발생 위험이 13% 높았다. 허혈성뇌졸중(뇌경색)이 17%로 가장 높았으며, 출혈성뇌조중(뇌출혈)은 관련성이 불확실했다.

이러한 차이는 암 진단 후 3년째까지 벌어진 이후 7년째까지 유지됐다.

뇌졸중 사망위험 차이도 커서 암 진단 7년차 때 뇌졸중 사망위험은 암환자가 일반인 보다 21% 높았다.

연구팀은 이같은 차이가 발생한 원인으로 항암화학요법을 꼽았다. 같은 암환자라도 항암화학요법을 받은 환자의 뇌졸중 위험이 21% 높았기 때문이다.

암종별로는 소화기암이나 폐암과 관련성이 뚜렷한 반면, 인두암, 갑상선암, 유방암 등과는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우근 교수는 "암으로 인한 고통도 큰 데 뇌졸중 위험까지 겹치면 환자나 가족들이 그 부담을 견디기 매우 어렵다"면서 "암 진단과 동시에 뇌졸중 위험을 관리하고 예방할 수 있도록 사회적 관심과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