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이내 생존률이 2%에 불과한 난치성 뇌암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병원 신경외과 백선하 교수 · 포항공대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 공동 연구팀은 3D 세포 프린팅으로 만든 칩을 이용해 실제 항암치료와 동일한 암세포 치료반응을 재현하는데 성공했다고 네이처 바이오메디컬 엔지니어링(Nature Biomedical Engineering)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공조직이나 인공장기를 제작하는 3D 바이오프린팅 기술로 뇌암의 가장 흔한 형태인 교모세포종의 환경을 칩 형태로 구현했다. 

산소투과성이 있는 실리콘으로 칩의 벽을 프린팅하고 그 안에 환자의 교모세포종과 사람의 혈관세포로 이루어진 바이오잉크를 순차적으로 프린팅해서 동심형 고리구조를 만들었다.

여기서 세포를 배양한 결과, 체외세포 배양에서는 확인하지 못했던 세포종의 병리학적 특징이 나타났다. 

또한 항암치료 효과가 좋았던 환자에서 분리된 3종의 교모세포종으로 만든 칩에서는 암세포 생존률이 약 40%이하였다. 

반면 암이 악화된 환자에서 분리된 4종의 교모세포종으로 만든 칩에서는 약 53% 이상이었다.

특히 동일한 교모세포종 칩을 표준요법군과 최적 약물조합군으로 나누어 암세포 생존율을 분석한 결과, 각각 54%와 23%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는 3D 프린팅으로 복잡한 교모세포종 특징의 모사 뿐만 아니라 뇌암환자 별로 맞춤형 항암제 조합을 발견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