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기간이 길수록 폐암 표적 치료제의 효과가 낮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건국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김인애 교수가 폐암환자를 대상으로 흡연기간과 폐암표적치료제(EGFR-TKIs) 투여 후 생존기간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적인 암 전문 저널 EMC cancer에 발표했다.

EGFR-TKIs은 상피세포 성장인자 수용체를 타깃으로 하는 표적항암제로 암세포의 성장에 필요한 세포 전달 신호를 억제해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기전을 갖고 있다. 이레사(gefitinib), 타세바(erlotinib)등이 여기에 속한다.

기존 주사 항암제보다 독성이 적어 말기 폐암환자의 생존기간을 획기적으로 늘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하지만 모든 폐암환자에서 이 약물을 쓸 수 있는 것은 아니다. 폐선암 환자 중에서도 19번 엑손유전자 결손과 21번 엑손유전자 L858R변이가 있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이 유전자변이는 비흡연 여성 폐암환자에서 50~60% 발견되며 흡연자에서도 약 30% 발견된다.

이번 연구의 대상자는 진행성 폐선암(3-4기) 환자 가운데 EGFR 유전자 변이가 진행돼 EGFR-TKIs 약물치료 중인 총 142명.

연구팀은 대상자를 흡연기간에 따라 무흡연자(91명), 10년 이하(12명), 11~30년(22명), 30년 이상(17명) 등 4개군으로 나누고 무진행생존기간(PFS)과 전체생존기간(0S)을 분석했다.

그 결과, PFS의 중간치는 무흡연자(11.7개월), 10년 이하(11개월), 11~30년(7.4개월), 30년 이상(3.9개월) 순으로 무진행 생존기간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김 교수는 이같은 결과에 대해 "아무리 효과가 좋은 표적 항암제를 복용해도 흡연량이 많으면 약물효과 유지 기간이 짧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OS 중간치 역시 각각 33.6개월, 26.3개월, 20개월, 8.9개월로 흡연 기간이 길수록 짧았다.
 
김 교수는 "흡연기간과 흡연량에 따라 약물치료 효과가 3~4배 차이가 났다"면서 "금연은 폐암 발생 예방 뿐 아니라 치료 효과에 큰 도움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