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병 치료제에 대한 반응성을 예측해 조기에 적절한 항정신병 약물을 선택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분당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의태 교수, 서울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권준수 교수 연구팀(제1저자: 분당서울대병원 김서영 임상강사)은 "도파민 생성량의 상관관계를 통해 조현병의 병태 생리적 차이를 밝혀냈다"고 정신의학(Psychological Medicine)에 발표했다.

조현병은 1차 정신약물 치료제에 반응을 보이는 치료 반응성과 반응이 없어 클로자핀(clozapine) 약물에만 호전을 보이는 치료 저항성으로 나뉜다. 

문제는 1차 약물로 치료해보기 전에는 치료 반응을 파악할 수 없어, 치료 저항성 환자의 경우 적절한 치료를 받기 전까지 시간이 지체된다는 점이다.

연구팀은 조현병 환자 가운데 치료반응성 환자와 치료저항성 환자 각 12명, 건강자원자 12명을 대상으로 뇌의 기능적 연결성과 도파민의 생성량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뇌 영역간의 연결성은 기능적 뇌자기공명영상(MRI)으로, 시냅스에서 생성되는 도파민의 양 측정에는 최첨단 DOPA 양성자단층촬영(PET)을 이용했다.

연구 결과, 치료 반응성 환자의 경우 뇌의 기능적 연결성과 도파민 생성량이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치료 저항성 환자에서는 상관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동일한 조현병이라도 정신병치료제의 치료 반응성에 따라 병태 생리가 다르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지난 2017년에 치료저항성 환자가 치료 반응성 환자에 비해 도파민 생성량이 10% 이상 적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연구팀은 "선조체-전두엽의 기능적 연결성과 도파민 생성량의 상관관계를 분석하면 조현병 치료 저항성 환자와 반응성 환자를 구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조기에 적절한 약물을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