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이 만성질환의 근본 원인으로 알려진 가운데 건강한 신체를 위해서 다이어트를 올해의 목표로 삼는 이들이 많다.  

하지만 고령층에서 다이터를 잘못하다간 오히려 사망위험을 초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윤종률․조정진 교수 연구팀은 한국 고령자를 대상으로 비만지수와 사망률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노년학노인의학 학술지(Geriatrics & Gerontology International) 최신호에 발표했다.

연구 제목은 '한국 노인에서 BMI가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Prognostic effect of body mass index to mortality in Korean older persons)’이다.

연구 대상자는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노인코호트 자료에서 65세 이상 노인 17만여명.  BMI 외에 혈당·혈압·콜레스테롤·체중 등의 신체상태와 음주·흡연·운동·소득수준 등의 변수를 고려해 5년간 추적관찰했다. 이 기간에 대상자의 1만 8천여명이 사망했다.

BMI 25~27.4kg/㎡(사망위험 1)를 기준으로 비교한 결과, 사망위험은 반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만에 해당하는 BMI 25~27.4kg/㎡에서는 남녀 사망위험이 각각 0.86과 0.84로 낮았다. 더 높은 BMI 27.5~29.9kg/㎡에서는 0.79와 0.89로 더 낮아졌다. 세계보건기구의 비만기준인 BMI 30kg/㎡ 이상에서도 사망위험이 통계적으로 유의할만큼 높아지지 않았다. 

반면 대한비만학회가 정상 체중으로 판단하는 BMI 22.5kg/㎡ 이하일 때 사망위험이 유의하게 증가했다. 비만기준인 BMI 25~29.9kg/㎡ 대비 BMI 17.5~19.9kg/㎡에서는 사망위험이 2배 이상, 저체중인 BMI 16~17.4kg/㎡에서는 3배 이상이었다[].

표. BMI에 따른 사망위험
표. BMI에 따른 사망위험

특히 BMI가 증가하면 호흡기질환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크게 줄었다. 심혈관질환과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 역시 BMI가 25~27.4kg/㎡가 될 때까지 꾸준히 감소했다.

윤종률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과체중 또는 비만이 사망위험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저체중에서 심혈관질환, 호흡기질환, 암으로 인한 사망위험이 BMI 증가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 위험보다 높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수팀은 이번 연구결과에 근거해 "건강한 장수를 위한 노인의 BMI는 남성의 경우 27.5~29.9kg/㎡, 여성의 경우 25~27.4kg/㎡"라며 "사망률을 고려한 노년기 적정체중 기준은 남성은 30kg/㎡ 이하, 여성은 27.5kg/㎡ 이하이므로 최소한 노년기에는 기존의 국내 기준으로 비만도를 적용하면 곤란하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