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18ppm 증가할 때마다 위험 11% 상승

임신 중 오존에 노출되면 선천성기형아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는 선천성기형아를 대상으로 출생 당시 오존 농도와 기형 발생의 관련성을 분석해 국제환경역학회(International Society for Environmental Epidemiology)에 발표했다.

대상 아동은 2008~2013년에 태어난 0~6세 15만명. 건강보험공단의 기형 데이터에서는 순환계통(25%)이 가장 많았고, 이어 근골격계(22%), 비뇨기계(13.3%) 순이었다. 눈·귀·얼굴·목(5%)은 가장 적었다.

출생 후 내분비 및 대사질환관련 선천성 기형은 생후 6세 미만에서 대사성질환(22%), 내분비계(6.6%), 갑상선기능저하증(6%) 순이었다. 대기 오존농도는 환경부 데이터를 이용해 대상자의 임신 전기와 중기, 후기 별로 나누어 하루 평균치를 적용했다.

분석 결과, 오존의 영향은 임신기간 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대기 오존농도가 약 0.018ppm 증가될 때마다, 임신중기(4-7개월)에는 태아의 순환기계통 선천성질환 발생확률이 5.0% 증가했고, 근골격계는 7.1%, 비뇨기계는 11.7% 정도 높아졌다. 임신후기(8~10개월)에는 순환기계통 선천성질환 발생이 4.2%, 근골격계는 3.6%로 높아졌다.

오존은 출생 후 내분비 및 대사질환에도 부정적이었다. 대기 오존농도가 약 0.018ppm 증가할 때마다 임신 중기에서는 대사질환관련 선천성기형 발생이 11.7%, 갑상선기능저하증이 9.7%로 높아졌다. 임신 후기에는 대사질환관련 선천성기형이 8.2% 증가했다.

연구팀은 "오존을 포함해 임신 중 산모가 흡입하고 노출되는 깨끗한 대기질의 중요성을 재확인됐다"면서 "특히 임신중기에 오존노출이 선천성 기형 위험을 가장 높였다"고 말했다.

홍윤철 서울의대 환경보건센터 센터장은 "선천성 기형 발생의 위험도 높아지기 때문에 대기 오염이 심한 날에는 임신부의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게 좋다"고 권고했다.  

그는 "선천성 기형의 원인은 복잡하지만 적절한 예방을 위한 노력과 산전검사를 통해 어느 정도는 예방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