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청주 흥덕구 가경동에 거주하는 주부 A씨는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딸 B양을 자녀로 두고 있다. 그런데 학교에서 학업 성취도 곧 잘해내고 친구관계도 원만하던 딸이 점점 말수가 줄어들고 입맛이 줄어들어 밥상머리에서 숟가락을 일찍 놓기 일쑤다.

잠도 자는 둥 마는 둥 하고 머리도 자주 아프다고 하며 소화도 잘 안되며 식욕부진까지 겹쳐있다. 뭘해도 즐거움을 느끼지 않으며 간혹 이것저것 충고와 조언을 하게 되면 잔소리로 받아들인다. 자녀의 갑작스러운 이런 태도로 인해 주부 A씨는 걱정이 되고 어디 하소연할 곳도 없어 막막하다.

우울증은 우울장애라고도 하며 우울한 기분이 지속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그런데 단순히 우울감을 호소하는 것뿐만이 아니라 실제로 우울증을 앓게 되면 기분장애, 만성피로, 무기력감, 공허함, 불안장애 증상, 절망감, 주의집중 저하, 불면증 혹은 과다수면, 죽음에 대한 진지한 고민 등 여러 가지 신경정신과적 증상을 동반한다.

우울증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생물학적 요인, 심리적인 문제, 사회적 원인 등 다양하게 설명되고 있다. 휴한의원 네트워크(청주) 변형남 원장에 따르면 대체로 불안에 대한 감정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는 성향을 가진 사람이 충격적이고 복합적인 사건의 누적으로 인해 신경 쇠약해지며 우울증의 수렁으로 빠져드는 경우가 많다.

특히 그 사건들은 소아 청소년에게는 학업성적에 대한 비관, 왕따 문제 혹은 이성친구와 같은 교우관계의 트러블이 될 수 있다. 또한 학교에서 한참 친했던 사이가 급격하게 틀어졌을 때에도 이러한 심한 우울감이 몰려오고 우울증이 유발될 수 있다.  
  
아동·청소년 우울증의 특징은 부정적 사고방식이다. 사람은 누구나 긍정적인 생각을 할 때가 있고 또한 부정적이고 방어적인 사고방식을 취할 때가 있다.

상황과 시간에 따라 긍정과 부정의 신호는 항상 교차적으로 나온다. 하지만 우울증을 앓고 있는 사춘기 청소년의 경우 부정적이고 염세적인 사고의 회로가 너무나 강해서 부모님이나 주변 어른들의 조언을 잘 들으려 하지 않는다. 잔소리로 생각하고 반발심을 표현하고 짜증을 내기 마련이다.

우울감이 지배하는 상황이라 이러한 경우에는 밝고 긍정적인 생각을 하면 좋겠지만, 부정적인 생각의 반복이 본인의 머릿속을 하루 종일 휘젓는 느낌이 발생한다.

마치 이것은 머리에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는 딱지와 같은 느낌을 준다. 게다가 흑백논리의 오류를 범하게 되어서 사건과 사물, 그리고 본인의 미래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이 사라지고 오로지 부정적인 판단을 하게 된다.

신호등이 계속 빨간불만 들어오는 상태인 것이다. 이것은 생각만큼 본인의 의지로 극복하고 헤쳐 나가서 이겨내기 힘들어 한다. 또한 우울증을 가지고 있는 소아나 청소년들이 유독 스마트폰에 탐닉하는 경우가 많다. 아무래도 본인 스스로 생각하기에 부모님이나 주변 친구들, 지인들은 나에게 도움을 주지 않아 라고 생각이 들고 본인의 불안하고 우울한 마음을 달랠 수 있는 것은 일시적이나마 스마트폰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현실을 외면하고 도피하는 것이지만, 이거라도 안하고 있으면 본인의 머릿속에 회오리치는 부정적인 생각을 잠시나마 잊어버리기 힘들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빠져 있고, 하루 종일 웃지 않고 무표정을 짓는다면 우울증을 포함한 정서적인 문제를 의심해 볼 수 있다.

이처럼 소아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우울증상의 특징은 스스로 쉽게 극복하기가 힘든 만큼 부모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하다. 변형남 원장은 "아이들은 괴로운 증상이 심하다는 것을 자각해도 우울증 치료를 거부하기 때문에 소아청소년기 우울증에 대한 이해를 통해 부모와 자녀가 함께 병원에 오거나 협의해 치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획팀>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