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 전문의 증원, 보조인력 확충, 의사·환자 교육필요
대한항균요법학회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전문가 포럼'
영국항생제대책委 "2050년에 감염 사망자 연간 1천명"

(왼쪽부터) 대한항균요법학회 김성민 회장, 배현주 교수(한양대), 엄중식 교수(길병원), 정석훈 교수(강남세브란스)
(왼쪽부터) 대한항균요법학회 김성민 회장, 배현주 교수(한양대), 엄중식 교수(길병원), 정석훈 교수(강남세브란스)

대한항균요법학회(회장 김성민)가 항생제 내성문제 해결은 의사의 노력만으로는 불가능하며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학회는 13일 '항생제 내성 예방주간 전문가 포럼'에 앞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항생제 내성극복을 위한 선결과제를 제시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항생제 사용량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3번째로 많다고 알려져 있다. 하루 1천명 당 34.8명이 항생제 처방을 받고 있는 셈이다. OECD는 평균 21.1명이다.

영국국가항생제내성대책위원회(AMR)는 항생제 내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2050년에는 2차세계대전 당시 연간 희생자에 맞먹는 1천만명의 감염병 사망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날 한양대병원 감염내과 배현주 교수는 항생제 사용량 억제는 의사의 통제만으로는 충분하지 못하다고 강조했다.

배 교수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항생제 처방률 데이터를 인용해 "급성상기도감염에 대한 항생제 처방은 2006년 약 50%에서 2016년에 36%로 줄었지만 급성하기도감염은 같은 기간 22%에서 36%로 늘었다"면서 "이는 항생제 사용 의사들을 공개하는 정책이 실제로 투여량을 줄이지 못했다는 증거"라고 말했다.

교수는 또 "항생제 처방률이 낮아지면 환자 만족도도 떨어진다. 반면에 의사의 상담시간은 늘어난다"면서 현재의 항생제사용 억제정책의 현실성이 낮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항생제 사용 억제를 위해서는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와 구체적인 실천이 필요하다며 보건복지부 내 항생제 전담관리부서 설치를 제안했다.

아울러 의료기관내 전문인력 충원도 강조했다. 현재 국내 감염내과 전문의는 약 200여명으로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그나마 이들의 업무 반경이 감염병 환자 진료, 타과 발열질환 자문, 병원감염관리 업무 등으로 넓어 효율적인 항생제 억제는 불가능한 실정이다.

배 교수는 항생제 적정사용은 항생제 내성의 예방 뿐만 아니라 개별 환자의 항생제 치료의 성과를 개선시키고 환자 안전에도 큰 영향을 주는 만큼 항생제 억제를 위한 전문인력(감염병, 약제, 미생물, 의료정보 전문가)이 국가적으로 확보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중소병원과 장기요양병원의 감염관리 지원, 그리고 중증환자를 진료하는 종합병원과 상급종합병원의 내성균 환자 감염관리 시설의 개선과 인력 확충도 항생제 사용 억제 방법으로 제시됐다.

한편 보건복지부를 비롯한 정부 5개 부처(질병관리본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축산검역본부,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는 항생제 내성 문제가 사람-동물-환경 전체의 문제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항생제 사용량 조사와 사람-동물-환경 간 내성기전과 전파 규명을 위한 공동기획사업으로 원헬스 항생제 내성균 사업을 2019년부터 본격 시행한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