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병상 이상 병원이 공급하면 감소
중소병원 분포에 따라 2배 이상 차이

병상 공급이 많을수록 입원과 재입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됐다. 하지만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이 공급하는 병상수가 많으면 사망 및 재입원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건강보험빅데이터(2011~2016년)로 지역별 의료이용 양상을 비교한 '건강보험 의료이용지도 연구' 결과를 31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2016년 기준으로 국내 300병상 미만 중소형 병원의 병상수는 전체의 69%로 중소형 병원 중심의 공급구조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에서는 300병상 이상 병원급의 병상이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환자의 입원의료 이용행태, 인구수와 이동거리에 따라 전국의 진료권을 56개로 나누고 의료자원(인구 1천명 당 병상수) 및 병상공급 구조(300병상 이상 병상수, 포괄의료서비스 병상수)와 입원의료 이용(인구 1천명 당 입원, 자체충족률), 건강결과(사망비, 재입원비율)의 관련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인구 1천명 당 병상수는 최고와 최저 지역 각각 9.9개와 3.6개로 2.8배의 격차를 보였다. 입원이용량도 각각 377건과 155건으로 2.4배의 차이를 보였다. 

사망비는 이천과 여주가 1.7로 가장 높은 반면 강릉과 평창은 가장 낮은 0.8로 2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

강릉과 평창은 주변 지역 가운데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이 없는 속초(1.5), 영월(1.3)보다 낮았다. 인구 1천명 당 병상은 6.6개로 전국 평균(6.2개)보다 약간 많았다. 

또한 병상의 63%를 300병상 이상 종합병원이 공급했으며, 700병상 급의 지역거점 병원이 있었다.

반면 이천과 여주는 인구 1천명 당 병상수가 3.7개로 전국 최저였으며 모든 병상을 300병상 미만의 병원이 공급했다.

재입원 비율이 낮은 천안과 아산은 인구 1천 명 당 병상이 5.7개로 가장 적었으며, 병상의 40%를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이 공급했다. 지역거점 병원도 있었다.

반면 재입원 비율이 가장 높은 여수의 병상수는 9.6개이며, 3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이 공급하는 병상 비율은 13%로 낮은데다 거점병원도 없었다. 

이번 연구 책임자인 서울대의대 김윤 교수는 "병상 공급이 지나치면 입원 의료이용과 재입원이 증가한다. 하지만 병상 공급량이 많더라도 공급 구조가 양호하면 의료이용과 의료결과는 양호했다"면서 "불필요한 입원과 재입원을 막고 입원의료서비스의 질을 높이려면 병상의 공급구조를 파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외래에서 잘 관리되면 입원을 예방할 수 있는 질환을 가리키는 '외래진료 민감질환'의 입원율은 인구 1만명 당 181건이었다. 용인시 수지구가 76건으로 최저, 전남 해남이 545건으로 최고였다.

수지구는 사회경제적 여건이 양호하고 인구 1만명 당 일차의료 의사수도 3.2명으로 상대적으로 많았으며, 300병상 미만 병원의 병상수는 인구 1천명 당 0.9개였다. 

반면 해남은 사회경제적 여건이 취약하고 의사수도 1.7명, 병상수도 13.4개로 차이를 보였다.

김 교수는 이 연구 결과 역시 "병상수 총량을 늘리기 보다는 의료의 질과 효율성 측면에서 중소병원의 진료기능을 명확히하고 급성기 뿐만 아니라 요양병원-요양원 등 협력체계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번 연구에서는 또 지역응급의료센터가 전반적으로 과잉 공급 상태이지만 응급취약 지역은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증환자가 지역응급의료센터까지 이동시간은 평균 37.5분이지만 지역별로 최대 11.4배에 달하고 중증환자의 부적절한 초기 이용률은 평균 17%이며, 지역별 차이는 26배 이상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