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람들에게 가족에게 부담주지 않는 게 가장 좋은 죽음이라는 응답이 나왔다.

서울의대 윤영호 교수팀은 2016년 환자와 그 가족, 의사와 일반인 각각 약 1천명 씩 4,176명을 대상으로 10가지 '좋은 죽음'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를 종양 지지치료(Supportive Care in Cancer)에 발표했다. 

조사 결과, 환자와 일반인은 '가족에게 부담주지 않는 것'을 첫째로 꼽았고 가족은 '가족이나 의미 있는 사람이 함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선택했다. 

특히 의사를 뺀 나머지 군의 3분의 2에서 가족에 대한 부담감, 가족 존재 여부, 주변정리 등 세 요소를 가장 중요시했다. 의사가 선택한 좋은 죽음은 '지금까지 삶이 의미있게 생각되는 것'이었다.

좋은 죽음에 대한 해외 설문조사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 '통증으로부터 해방'이 가장 많았다. 일본은 '신체적, 정신적 편안함', 영국은 '익숙한 환경에서 죽는 것'을 선택했다.

이번 연구결과로 죽음에 대한 가치가 나라마다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서구는 '고통으로부터의 자유'를 가장 좋은 죽음으로 꼽은 반면 우리나라는 가족을 중요시했다.

하지만 우리나라도 좋은 죽음에 대한 생각이 달라지고 있다. 2004년 조사처럼 '가족에게 부담주지 않는 것'과 '가족이나 의미있는 사람이 함께 있는 것' 등 가족 관계의 중요성은 여전하지만 비중이 줄어들었다. 

대신 이번 조사에서는 서구처럼 개인적 차원을 우선시하는 '주변 정리'와 '통증 완화' '의미있는 삶'의 비중이 늘었다.  

윤 교수는 "이 연구에 나타났듯 환자가 임종시 가족의 부담을 줄이고, 함께 머무르며, 주변을 정리하고 의미 있는 삶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실질적이고 구체적 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좋은 죽음에 대한 개념이 서구처럼 개인 중시로 차츰 변하고 있다. 정부, 언론, 시민사회와 학자들은 이러한 의식변화를 인지하고 대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