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임스 앨리슨 교수(왼쪽)과 혼조 다스쿠 교수(노벨위원회 제공)
제임스 앨리슨 교수(왼쪽)과 혼조 다스쿠 교수(노벨위원회 제공)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은 면역항암제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의학자 2명에게 돌아갔다.

스웨덴 캐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1일 면역세포를 활성시켜 암세포를 공격하는 면역시스템의 메커니즘을 규명한 미국 텍사스MD앤더슨암센터 제임스 앨리슨(James P Allison) 교수와 일본 교토의대 혼조 다스쿠(Honjo Tasuku) 교수를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로 선정했다.

항암제는 1세대인 화학치료제와 2세대 표적치료제, 그리고 3세대인 면역치료제로 나뉜다.

화학항암제는 암세포 치료 과정에서 정상세포까지 손상시키는 만큼 부작용이 심했다. 표적항암제는 말 그대로 암세포만을 공격하는 장점이 있지만 유전자변이를 가진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는데다 내성이 발생하는 단점도 있다. 

면역항암제는 다른 항암제와 달리 암환자의 면역을 강화시켜 스스로 치료한다는 점에서 부작용이 적고 암환자의 삶의 질을 높이고 생존기간도 길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들은 모두 CTLA-4, PD-1, PD-L1 등의 면역관문을 차단해 암세포를 치료하는 기전을 갖고 있어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receptor)라고도 말한다.

서울아산병원 종양내과 이대호 교수는 "이번 노벨의학상 수상자들이 발견한 면역관문수용체와 이에 대한 치료제의 개발은 암의 완치 내지는 장기생존을 바라볼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인류의 건강에 크게 기여하였다고 생각된다"며 "노벨상 수상은 충분히 예상되며 충분한 자격이 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