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대장암 호발 부위와 양상이 과거와 크게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대장항문외과 김남규·허혁 교수와 국립암센터 오재환·원영주 교수는 중앙암등록본부가 보유한 대장암환자의 자료를 분석해 대한대장항문학회지에 발표했다.

2015년을 기준으로 국내 대장암 발생은 2만 6,790건으로 암 발생 2위를 차지했다. 대장암은 세계적으로도 성별을 불문하고 암 발생 3위에 올라있는 주요 암이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32만 6천여명. 1996년~2000년까지 대장암 중 결장암 비율은 49.5%였지만 지속적인 증가 추이를 보여 2011~2015년에는 66.4%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직장암의 비율은 50.5%에서 33.6%로 감소했다.

원인은 식생활의 변화와 비만으로 이는 전세계적으로도 공통됐다. 김남규 교수에 따르면  적색육‧가공육‧당분‧정제된 곡물 섭취가 많은 서구화된 식생활은 비만, 당뇨와 연관성이 높으며 대장암 발병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여러 연구를 통해 보고됐다.

특히 최근 연구에서는 서구화된 식습관이 원위부 결장암과 관련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서구화된 식이와 연관된 대장암에서 나타나는 유전자 특성이 주로 원위부 결장암 환자에서 관찰되기 때문이라고 김 교수는 설명했다.

결장암 발생률에 성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남성의 경우 왼쪽 결장암이, 여성은 오른쪽 결장암이 급증했다. 역시 식습관의 차이와 함께 유전적 요인이 원인으로 지적됐다.

한편 직장암환자의 생존율은 우리나라가 미국‧유럽 및 아시아 국가에 비해 높았다.

국내 전체 대장암의 5년 생존율은 1996~2000년에 59%에서 2011~2015년 75%로 크게 증가했다. 특히 직장암 환자의 생존율은 58%에서 75%로 높아져 전체 대장암 중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직장간막술과 복강경 및 로봇수술로 수술의 질이 높아진데다 수술 전 화학방사선요법을 적극 도입해 근치적 절제율을 높이면서 국소재발률을 낮춘게 생존율 향상의 바탕이 됐다.

생존율 증가는 그러나 병기가 높은 경우에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장암 1기나 2기 초의 경우 2006년~2010년 5년 생존율이 93%, 2011~2015년 95%로 매우 높았고, 2기 말이거나 3기인 경우에도 같은 기간 79%에서 82%로 생존율이 높아졌다. 하지만 간‧폐‧복막 등으로 원격 전이된 4기에서 약 20%로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