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비만기준이 체질량지수(BMI)의 경우 25kg/㎡ 이상으로 제시됐다.

대한비만학회는 2천만명 이상의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 수검자를 전수 조사해 BMI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 등을 반영해 국내비만기준을 9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며 BMI가 25이상이면 성인비만이다. 23~24.9는 비만전단계, 29.9까지는 1단계 비만, 34.9까지 2단계 비만이다. 35 이상부터는 3단계비만, 즉 고도비만에 해당한다[].

이번 기준의 특징은 BMI와 함께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 및 사망위험의 관련성이 확인되면서 비만전단계와 고도비만의 기준이 마련됐다는 점이다.

이번 빅데이터 분석 결과, 당뇨병과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3가지 질환 가운데 1개 이상을 가지면 위험 분별점(컷오프)은 BMI 23으로 확인됐다. 

즉 BMI가 정상이거나 비만전단계라도 허리둘레가 남성 90cm 이상, 여성 85cm 이상이면 동반질환 위험은 1단계 비만환자와 비슷한 수준이라는 것이다.

한편 허리둘레가 BMI 보다 비만으로 인한 심뇌혈관질환 및 사망위험을 좀더 명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허리둘레를 6개로 나누자 새로운 심근경색 및 허혈성 뇌졸중의발생 위험도와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위험(총사망률)은 허리둘레에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심뇌혈관질환과의 관련성은 BMI 변수를 보정했을 때 더욱 뚜렷했다. 또한 BMI가 정상이라도 허리둘레가 클수록 총사망률은 급격히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비만으로 인한 치료비용은 정상체중자에 비해 연간 최대 약 51만원이 추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상체중에 비해 추가되는 의료비는 고도비만인 경우 14.3~50.1%, 허리둘레를 기준으로 했을 경우 2.5~53.3% 늘어났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이원영 교수는“복부비만을 진단하는 허리둘레의 분별점은 인종이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한국인의 실제 위험을 반영한 복부비만 기준이 확인됐다는 점에서 의미가 매우 크다"고 말했다.

한국인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대한비만학회 제공)
한국인의 체질량지수와 허리둘레에 따른 동반질환 위험도(대한비만학회 제공)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