잠들기까지 시간이 오래걸리거나 수면시간이 많을 경우 인지기능이 낮아질 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김기웅 교수 연구팀은 60대 이상 노인들의 수면습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잠드는데 30분 이상이 걸리거나 하루에 8시간 이상 자는 경우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높아진다고  미국신경학회저널(Annals of Neurology)에 발표했다.

과거 수면과 치매의 관련성을 보고한 연구는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수면습관이 치매를 비롯한 인지감퇴와 관련하는지를 보고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대규모 표본으로 다양한 수면 습관을 동시에 분석한 연구는 전무했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인지기능이 정상이거나 경도장애를 가진 60세 이상 2,893명. 이들을 4년간 추적관찰해 경도인지장애와 치매를 유발하는 수면특성을 조사했다.

그 결과, 인지기능이 정상인 경우 잠자리에 누워서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30분 이상이면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40%P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총 8시간 이상 잘 경우에도 70%p 높았다. 특히 이러한 패턴이 4년간 지속됐거나 최근 4년새 발생한 사람 모두 위험이 2배 높게 나타났다. 반면 새벽 3시에 자고 늦게 일어나면 위험이 40%P 낮았다.

경도인지장애를 가진 경우 잠드는데 시간이 걸리면 4년 후 인지기능 회복 가능성은 30%P 낮았고, 최근 4년새 발생한 경우에도 정상 회복 가능성이 40%P 낮았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는 인지기능 발생 위험이 낮아지는 수면 패턴으로 변화하더라도 인지기능 저하 위험은 줄어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연구팀은 "수면 습관이 인지 기능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이미 진행 중인 인지저하를 보여주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나이가 들면서 수면 패턴이 바뀌면 인지기능 저하 위험이 높은 만큼 정기 검진 외에도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활동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산업진흥원 지원으로 8년째 진행 중인 '한국인의 인지노화와 치매에 대한 전향적 연구(Korean Longitudinal Study on Cognitive Aging and Dementia; KLOSCAD)'의 일환으로 실시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