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복부비만이라도 내장지방이 피하지방보다 신체리듬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강남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이지원 교수팀(간호대 이향규 교수,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소 김수 교수, 의대 통계지원실 이혜선 박사)은 복부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의 면적과 시계유전자 발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시간생물학(Chronobiology International)에 발표했다.

신체리듬은 인체의 24시간 일주기 리듬(서카디언 리듬)으로 인간을 비롯한 생명체가 지구의 자전에 맞춰 24~25시간을 주기로 일정하게 움직이는 것을 말한다. 시계가 없어도 아침에 일어나 일정시간에 배가 고파지는 등 생명체는 일주기 리듬에 맞춰 생활한다.

이 리듬이 무너지면 에너지대사 장애가 발생해 비만 및 염증과 대사질환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의 대상자는 이 병원 비만클리닉을 찾은 남녀 75명. 교수팀은 복부 CT 영상검사로 내장지방 및 피하지방의 면적을 측정했다. 그리고 시계유전자의 발현 정도와 얼마만큼 관련이 있는지를 분석했다.

그 결과, 내장지방의 면적이 증가할수록 시계유전자인 PER2, PER3 ,CRY2 mRNA 레벨은 감소했고 CRY1 mRNA 레벨은 증가했다. 다른 변수를 보정해도 내장지방은 BMAL1, PER2, CRY1 mRNA 등의 시계유전자와 관련했다. 반면 피하지방 면적은 어떤 유전자와도 무관했다.

이 교수는 "심뇌혈관질환, 암 등 복부 내장지방과 관련된 여러 질환에 시계유전자가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