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동맥류는 대표적인 뇌혈관질환으로 파열이 발병하면 환자 3명 중 1명이 사망할 정도로 위험하다. 특히 추위와 큰 일교차로 혈압 관리가 필요한 겨울부터 초봄까지에는 파열 위험성이 올라가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뇌동맥류란 머릿속 동맥혈관의 일부가 풍선 또는 꽈리처럼 부풀어 오른 것이다. 부풀어 오른 풍선이 얇아지듯 혈관벽이 얇아져 빠르게 흐르는 피의 압력을 이기지 못해 터지면 ‘파열 뇌동맥류’로 출혈이 일어나 응급치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최근 활발한 건강검진으로 터지기 전인 ‘비파열 뇌동맥류’에서 발견되는 환자들이 늘고 있다.

터지지 않은 뇌동맥류를 발견하면 혈류를 차단하기 위한 치료는 2가지이다. 머리를 열고 볼록해진 혈관을 클립으로 집어 묶는 수술인 ‘클립 결찰술’과 뇌동맥류에 1mm 이하 얇은 코일을 채워서 구멍을 막는 시술인 ‘코일색전술’ 이다.

뇌동맥류를 클립을 집어 묶는 ‘클립결찰술’
뇌를 열어야하는 부담감에 대다수 회복이 빠른 시술을 선호하지만 평균수명이 길어진 점을 고려하면 젊은 환자들은 특히 내구성 좋은 수술도 고려해야 한다. 최근 미니개두술로 눈썹 또는 관자놀이에 3CM 이하의 구멍으로 통해 수술이 가능해져 과거 뇌동맥류 수술에 비해 수술시간은 반으로 줄고 입원기간 또한 줄일 수 있다.  

미세 코일로 뇌동맥류를 채우는 ‘코일색전술’
최대한 머리를 열지 않고 막을 수 있다면 코일색전술을 권장한다. 심평원 자료에 따르면 2016년 비파열뇌동맥류 환자 14,781명 중 코일색전술 시술 환자가 9,146명으로 60% 이상이 시술을 택하고 있다.

손목동맥을 통한 뇌혈관조영술로 당일퇴원 가능
또한 더 나은 치료전략을 위해 새로운 치료에도 앞장서고 있다. 1차적으로 CT나 MRI 검사결과 뇌동맥류가 의심되는 경우 확진을 위해 뇌혈관조영술은 필수적이다. 뇌혈관에 조영제를 주입 후 X선을 촬영해 뇌혈관의 모양이나 굵기 등을 확인할 수 있는 검사로, 주로 허벅지 피부를 5mm 이내로 절개해 혈관속의 도관을 넣어 검사한다.

검사 후 지혈을 위해 4~6시간 걸을 수 없어 당일 퇴원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다. 하지만 손목을 통해 검사를 진행하면 바로 걸을 수 있어 당일 퇴원이 가능하고 지혈을 위한 장치도 훨씬 저렴하다.

뇌동맥류를 3D로 재구성 해 파열 위험도 예측
풍선 같은 뇌동맥류 중에 반복적으로 피가 부딪히는 부분은 더 혈관벽이 얇아지고 약해지기 마련이다. 최근 연구 중인 뇌동맥류의 모양과 위치를 3D로 재구성해 피의 흐름을 시뮬레이션 함으로써 어느 부분이 터질 위험이 높은지를 예측하는 ‘다이나믹 시뮬레이션 시스템’ 등을 이용하여 뇌동맥류의 파열 위험도를 예측할 수 있으면, 뇌동맥류 치료의 시기, 방법을 정하는데 중요한 기준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