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수준 낮을수록 나쁜 생활습관 많아
불평등에 많이 노출될수록 심각성 몰라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우리나라의 건강불평등이 사회계층과 지역 간에 적잖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동진 부연구의원은 14일 국민건강영양조사의 건강불평등 분야에서 객관적 지표 외에 주관적 건강불평등 인식도를 설문 조사한 '우리나라 주·객관적 건강불평등 현황과 과제'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전체 조사대상자의 약 68%가 "건강불평등이 있다"고 응답했다. 사회계층 및 지역 간 건강수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이를 인식하는 사람의 48%가 건강불평등이 "심각하거나 매우 심각하다"고 응답했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이를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반면 불평등에 많이 노출될수록 건강불평등과 그 심각성을 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수준은 흡연, 음주, 운동부족, 미확인 식품 섭취 등 나쁜 생활습관과 관련했다. 특히 나쁜 생활습관을 3개 이상 가진 사람의 비율을 직업별로 육체직이 가장 많았고 이어 서비스직, 판매직, 사무직 순이었다.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3개 이상의 나쁜생활습관을 가진 사람이 적었고, 나쁜생활습관이 하나도 없는 사람이 많았다. 반면 교육수준이 낮은 사람에서는 3개 이상의 나쁜생활습관을 갖는 비율이 많았다.

낙후된 주거환경, 낮은 교육수준과 사회계급, 1인가구 등의 지역박탈과 총 사망률은 비례했다. 이같은 관련성은 회피가능 사망률, 예방가능 사망률, 치료가능 사망률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지역박탈지수와 사망률의 상관관계는 치료가능 사망률보다 예방가능 사망률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김 연구원은 우리나라의 건강불평등 해소를 위해서는 건강불평등의 발생 구조에 대한 사회적 이해를 높이고, 사회경제적 위치가 낮은 인구집단에 더 많은 건강증진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아울러 단순한 의료 접근성 향상 외에 건강의 사회적 결정요인에 대한 중재정책과 공중보건사업을 통한 예방활동 강화, 그리고 지속적인 건강불평든 모니터링도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