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병관리본부-소방청 10년간 이송환자 전수조사 결과 발표
발생률 50% 증가, 시‧도간 생존 및 복귀율 격차 갈수록 커져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지난 10년간 급성심장정지환자의 생존율은 3배, 일상생활 복귀율은 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본부와 소방청은 26일 119구급대가 이송한 급성심장정지 사례(2006~2016년)를 전수 조사해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2016년 급성심장정지환자는 약 3만명으로 10년 전보다 50% 이상 증가했다.  성별로는 남성이 여성의 약 2배인 65~65% 이상이며, 최근 3년간 70세 이상이 전체 발생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

급성심장정지 발생 주요 원인은 질병으로 전체 발생의 70% 이상을 차지했다. 그 가운데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부전이 90% 이상이었다.

가장 많이 발생한 장소는 집안(50~60%)이었다. 이어 도로와 고속도로(8~10%), 요양기관(5~7%), 구급차 안(4~6%) 순이었다.

급성심장정지환자의 생존율은 지난해 7.6%로 10년 전에 비해 3배 증가했으며, 뇌기능 회복률은 7배 증가한 4.2%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이후 평균 생존율과 뇌기증회복률은 최근 5년간 각각 평균 2배 이상,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률은 8년 전보다 약 9배 증가하고 매년 증가 추세를 보였다. 

하지만 2010년 이후 생존율은 7%에 머물고 있으며, 뇌기능 회복률의 지역간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생존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세종(11.9%)이었으며, 이어 서울, 울산 등이었다. 가장 낮은 지역은 경북(4.3%)이며, 전남, 전북, 충북 순이었다.

뇌기능 회복률이 높은 지역은 세종(9.3%)이었으며 울산과 서울이 뒤를 이었다. 낮은 지역은 전남(2.0%), 강원, 경북, 충남 순이었다.

정은경 질병관리본부장과 조종묵 소방청장은 "환자 발견시 119에 신속하게 신고하고, 일반인 심폐소생술을 늘리기 위해서는 지역주민의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고, 심폐소생술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전파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