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한국인의 복부비만율이 젊은 층에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비만학회는 31일 열린 추계학회 및 국제학술대회(ICOMES, 콘래드서울호텔)에서 최근 6년간(2009~2015년) 국내 비만율의 변화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비만율은 29.7%에서 32.4%로 증가했다. 복부비만 역시 18.4%에서 20.8%로 증가 추세를 보였다. 비만과 복부비만은 특히 20, 30, 40대 연령층에서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젊은 남성(19~39세)의 1인 가구 다인가구에 비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1기와 2기로 갈수록 심근경색이나 뇌경색 발생위험 증가했으며 성별로는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높아진 반면 여성에서는 줄어들었다. 남성의 경우 교육수준이나 수입이 낮으면 비만과 복부비만 유병률이 높았다.

2형 당뇨병, 고혈압 및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증후군 발생률은 체질량지수(BMI)와 허리둘레 증가에 비례해 상승했다. 이같은 증가세는 BMI 35kg/㎡ 이상에서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폐경여성에서는 BMI가 증가할 수록 유방암 발생 위험이 높아졌으며, 비만여성에서 생리불순 유병률이 높았다.

한편 이번 학회에서는 서울선언 10주년을 기념해 선언 참가국의 비만 현황도 소개됐다. 서울 선언(Seoul Declaration)은 2007년 서울에서 열린 제4회 아시아-오세아니아 비만학술대회(AOCO) 기간 중 현장에 모인 10개국의 비만 관련 전문가들이 비만으로 인해 당면한 공동 문제를 함께 예방과 치료하겠다는 의미있는 선언이다.

일본의 경우 지난 2008년 정부 주도하에 대사증후군환자 25% 감소를 목표로 비만 등 생활질환 등과 관련한 새로운 질병 예방 정책을 시도했다. 그 결과, 대사증후군과 심혈관질환 등의 위험이 줄어든데다 의료비 절감으로 이어졌다.

뉴질랜드의 경우 성인 3명 중 2명, 어린이 3명 중 1명이 과체중이나 비만으로 전 연령대에서 비만인구가 증가 추세에 있다. 빈부의 격차도 심해 4명 중 1명은 상대적 빈곤층으로 생활습관과 질낮은 식사가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2015년부터 대국민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등 경제(빈곤), 주택, 보건 등을 주요 현안으로 선정했으며 비만의 주요한 원인으로도 지목되고 있는 빈부의 격차 해소에 정책의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필리핀과 말레이시아도 자국에서 열린 비만관련 국제학회 개최를 계기로 비만 예방과 치료를 위한 다양한 캠페인과 홍보활동을 통해 비만억제 정책을 펼치고 있다.

호주에서는 임신부 및 어린이의 비만과 건강에 초점을 맞춰 정크푸드 광고금지, 설탕세(稅) 부과제도를 마련 중이다. 

대한비만학회이기형회장은 서울선언 10주년 기념식에서 "지난 2007년에 뜻깊은서울선언을 준비하고참여했는데 어느덧 10년의 시간이흘렀다"면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모두가 함께 고민하고 풀어나가야할 당면 과제라는 문제의식으로 국적을 초월해 한목소리로 뭉쳤던 10년전 서울선언의 의미를 되새겨 비만없는 건강한 대한민국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대한비만학회 유순집 이사장은 "지난 10년간 학회를 중심으로 수많은 단체와기관의 적극적인 노력과 참여로 우리사회의 비만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높아졌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경제적 발전과 함께 여전히 증가 추세에 있는 질병인 비만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국가차원의 공동인식 확대와 제도 마련이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