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추척수증은 경추의 퇴행성 질환이다. 압력으로 인하여 척수가 눌러지면서 2차적으로 발생하는 척수 기능장애를 말한다. 이 질환은 퇴행성 경추의 추간판 질환과 관련이 있으며, 장시간의 과다한 사용으로 인한 구조적인 노화가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

경추척수증은 손과 팔의 근력 약화와 감각 이상으로 물건을 집거나 정교한 손놀림이 어렵고, 하지 근력 약화로 비틀거리면서 걷게 되는 증상이 나타나기 때문에 중풍으로 오인될 수가 있다.

하지만 중풍은 뇌신경이 손상되어 해당 부위에 마비를 초래하기 때문에 몸의 우측 또는 좌측으로 편측 마비를 보이고 경추척수증은 양쪽으로 마비가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만약 주먹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이 느리며, 손놀림이 부자연스럽고 글씨를 쓰기 어렵고, 손으로 물건을 집기가 어렵다, 비틀거리면서 걷는다, 걸을 때 보폭이 넓고 머뭇거린다, 대소변 장애가 발생한다 등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면 경추척수증을 의심해볼 수가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증상 외에도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의 정확한 진단을 통해 초기에 감별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기에 경추척수증을 치료하게 되면 약 1개월의 집중치료로 증상이 호전될 수 있지만 늦게 발견하여 치료할 경우, 1년이 걸릴 수 있는 등 치료기간은 유병기간과 연령, 체질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가 있다.

세종한의원 강혜영 원장은 “척수는 중추신경으로써, 혈액공급이 감소되어 신경이 허혈상태가 지속되면 신경기능이 상실되고, 신경세포가 괴사되어 재생이 어렵다."라며 “경추척수증은 빠른 수술이 원칙이지만 수술이 어려운 경우에는 약침요법과 시술요법을 접목한 치료법을 통해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여 뼈와 신경을 재생해 재발을 방지하고 기능장애를 직접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약을 먹어도 통증이 완화되지 않고 여러 번 주사를 맞아도 소용이 없는 경우, 장기간 반복된 작업이나 타박손상, 근육 인대가 유착된 경우, 만성적이고 고질적인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양방 수술을 두려워하거나 후유증을 겪고 있는 경우에는 수술을 대신할 수 있는 치료를 통해 척수의 문제를 해결해 볼 수 있다.

<메디칼트리뷴 기획팀>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