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은 수많은 정보를 빠르게 얻는 등 편리한 삶을 가능케 했지만, 때론 스마트폰의 과도한 사용으로 건강이 위협받고 있다. 최근 스마트폰에서 눈을 떼지 않고 걷는 사람을 뜻하는 ‘스몸비족(스마트폰+좀비를 합한 신조어)’의 안전사고가 크게 늘고 있다.

장시간 스마트폰 보면 목 디스크 위험
과도한 스마트폰 사용은 일자목 증후군·목 디스크 등의 질환을 유발한다. 우리의 목은 하중을 견디고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C자 형태를 갖추고 있는데,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장시간 고개를 숙이다 보면 목을 어깨보다 앞으로 쭉빼게 되어 거북이처럼 목이 일자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자목은 디스크 압력을 제대로 분산시킬 수 없어 목이 결리거나 근육을 경직시키고, 심한 경우 목 디스크로 이어질 수 있다.

고영도 이대목동병원 척추센터 교수는 “목에 가장 안정적인 자세는 귀와 어깨가 일직선이 되는 자세이다”며 “스마트폰을 사용할 때는 되도록 화면을 눈높이에 맞추고 구부정한 자세나 엎드려서 사용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또 30분 사용 후 10분 휴식을 취하고, 목이나 허리가 뻐근하다면 즉시 사용을 멈추고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척추 건강을 지키는 데 효과적”이라고 말했다.

손목에도 건강 적신호 ‘손목터널증후군’ 주의해야
손목이 과도하게 꺾인 자세를 지속하거나, 손목에 반복적인 압력이 가해지면 손끝으로 가는 신경이 손목에서 눌려 저림,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손목터널증후군’이 20~30대에도 나타나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손목터널증후군으로 병원을 찾은 20~30대 환자는 2010년 1만 6천여 명에서 2015년 1만 9천여 명으로 약 20% 증가해 목 디스크 환자와 유사한 증가 폭을 보였다.
 
노영학 이대목동병원 수부외과 교수는 “증상이 심하지 않을 땐 일정 기간 부목으로 고정하거나 경구 소염제와 물리치료를 받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지만 부목이나 주사 치료로 호전이 없거나 재발한 경우엔 수근관 인대를 절개해 손목 터널 공간을 넓혀 주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한다”고 전했다.

스마트폰 화면의 청색광, 불면증 유발
스마트폰 사용은 수면의 질에도 영향을 준다. 스마트폰에서 나오는 청색광(블루라이트)은 수면을 유도하는 멜라토닌의 생성과 분비를 감소시켜 생체리듬을 깨지게 한다. 노출되는 빛의 세기와 시간이 증가할수록 신체의 각성 효과도 커져 자다가 자주 깰 수 있고 혹은 깊은 잠에 들지 못해 수면의 질이 낮아진다.

이향운 이대목동병원 수면센터 교수는 “취침 2시간 전부터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PC 등의 전자기기 사용을 가급적 자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사용이 불가피하다면 스마트폰의 청색광을 막아주는 애플리케이션이나 보호필름 등을 사용해 빛 노출을 최소화하고, 불면증으로 낮에 큰 피로감을 느끼거나 주간 졸리움증, 집중력 저하, 의욕 상실 등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는다면 가까운 수면 클리닉에 방문해 수면 건강을 점검해 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