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팀 개발 '세리아 나노입자'
염증억제·세포보호 효과 확인, 병변 주위 대식세포도 억제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뇌출혈 치료제의 개발이 더딘 가운데 뇌출혈로 인한 뇌부종을 나노기술로 크게 억제시킬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이승훈 교수팀(제1저자: 강동완, 정한길, 김치경)은 뇌출혈이 발생한 뇌세포에 나노입자를 적용한 결과, 염증억제 및 세포보호효과가 나타났다고 나노 리서치 최신호에 발표했다.

뇌혈관질환은 국내에서 단일질환으로 심장질환에 이어 제2의 사망원인에 꼽히며, 전 세계적으로도 후유장애가 가장 큰 질환군이다.

뇌혈관질환의 대표적 형태인 뇌출혈은 국내 뇌혈관질환의 30%를 차지한다. 뇌혈관의 약한 부분이 터져 발생하며 두통과 의식저하, 반신마비, 발작 등을 동반한다. 

이차로 발생하는 뇌부종은 환자를 사망에도 이르게 하며 뇌출혈환자의 사망률은 발생 1개월 내 40%, 1년 이내에는 나머지의 50%가 사망한다. 완전한 기능적 회복을 기대할 수 있는 경우는 12~39% 정도다.

연구팀은 뇌출혈 후 주변 조직의 염증반응이 뇌부종 및 뇌손상을 일으키고,  뇌출혈 사망으로 이어진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뇌출혈 후 주변 조직의 염증반응을 억제하면 뇌출혈로 인한 사망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연구팀은 염증반응에서 중요한 활성산소 제거에 탁월한 '세리아 나노입자'를 자체 개발해 뇌출혈 환경이 조성된 세포에 적용한 결과, 염증억제 및 세포보호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동물실험에서도 세리아 나노입자 주입군은 비주입군(대조군)에 비해 뇌출혈 병변 주변의 대식세포가 줄어들었으며, 염증반응 시 발현되는 단백질도 감소했다. 염증반응이 줄어들자 뇌출혈로 인한 뇌부종도 대조군에 비해 크게 감소했다(68.4%).

연구책임자인 이 교수는 "이번 연구는 뇌출혈 후 뇌손상의 주요 병태생리를 파악해 그에 적합한 나노기술을 도입한 획기적인 연구"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한국보건산업진흥원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질병중심 중개 중점연구), 미래창조과학부 기초연구사업 등 정부 R&D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