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우울증과 조현병의 무의욕증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뇌기능 차이가 있다는 사실이 규명됐다.

가톨릭대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일호 교수는 기능적 자기공명영상(fMRI)으로 우울증 및 조현병 환자 그리고 일반인을 대상으로 뇌기능 중보상회로의 연결성을 관찰·분석해 저널 오브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우울증 환자는 보상회로의 연결성이 전반적으로 떨어진 반면, 조현병 환자는 연결성이 전두엽의 일부인 눈확이마겉질(완와전두피질)에서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우울증 환자는 보상을 얻기 위해 작업에 들이는 노력이 부족했으며, 조현병 환자는 보상에 대한 기대감이 결핍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과 조현병은 다른 질환이지만 생활에서 욕구를 느끼지 못하는 '무의욕증'은 공통으로 나타난다. 하지만 우울증의 무의욕증은 치료가 잘 되지만 조현병에서는 치료가 어려워 환자의 기능적 장애가 지속되는 주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가 객관적인 검증을 통해 실제 임상에 적용되기까지 쉽지 않다. 하지만 기능적 뇌영상 연구가 보다 활발해진다면 정신질환의 병태생리적 진단 뿐 아니라 이에 따른 맞춤 치료를 할 수 있는 길도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현재 우울증이나 조현병의 진단은 일반적으로 설문과 상담으로 증상을 진단하며 진단 기준은 2013년 미국정신의학회(APA)가 발간한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5(DSM-5)'이다. 

하지만 이는 신경생물학적인 근거가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임상 증상 위주의 진단기준으로 많은 전문가들은 과잉진단이나 오진, 약물의 오남용 등을 부추긴다고 지적하기도 한다. 

미국립정신보건원(NIMH) 역시 분자생물학, 유전학, 신경회로 등 기존 연구에 기반한 정서, 인지, 의욕, 사회행동에 대한 뇌기능적 영역에 대한 연구를 통해 정신질환에 대한 객관적인 새로운 진단체계가 필요하다고 피력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