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혈당 수치의 높낮이가 큰 한국인 당뇨병환자는 심혈관질환 위험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안창호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임수 교수 연구팀은 당뇨병환자 및 당뇨 전단계 1,248명을 대상으로 헤모글로빈 당화지수(hemoglobin glycation index)와 심뇌혈관 질환 유병률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미국당뇨병학회가 발행하는 DiabetesPro SmartBrief에 발표했다.

당화혈색소(HbA1c) 검사는 2~3개월간의 혈당조절 추이를 파악하는데 필요한 검사이다. 하지만 평균 수치만 알 수 있을 뿐 혈당 변동 폭은 알 수 없다. 공복혈당치가 높은 환자에서 대부분 당화혈색소 수치도 높지만 당화혈색소치가 비슷해도 공복혈당치에는 편차가 클 수 있다.

교수팀은 공복혈당 대비 당화혈색소가 얼마나 높은지를 수치화한 헤모글로빈 당화지수를 측정해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을 측정했다.

그 결과, 헤모글로빈 당화지수가 높은 환자는  심뇌혈관질환 유병률이 높게 나타났다. 이는 나이, 체중, 혈압, 콜레스테롤 수치 및 다른 심뇌혈관질환 위험요소와 무관했다.

특히 헤모글로빈 당화지수에 따라 환자를 3개군으로 나누었을 때 지수가 가장 높은 군은 가장 낮은 군에 비해 관상동맥질환 위험이 2.3배, 뇌졸중은 3.4배, 말초혈관질환은 6.4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창호 교수는 "당화혈색소가 보여주는 평균 혈당 수치에만 집중하기 보다는 당화혈색소와 공복혈당을 동시에 검사해야 한다"면서 "헤모글로빈 당화지수가 높은 환자는 심혈관질환이 발병할 위험성이 높은 만큼 조기 적극적인 약물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논문의 책임저자인 임수 교수는 "헤모글로빈 당화지수는 공복 혈당 또는 당화혈색소 수치보다 한 단계 더 정확한 합병증 예측 지표"라며 "환자 개개인에 차별화된 치료 방향을 제시하는 소위 정밀 의학에 한 단계 다가서는 연구 성과"라고 언급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