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사람의 선호하는 활동시간과 휴식시간의 일주기성을 '크로노타입'이라고 하며 일반적으로 '아침형' '중간형' '저녁형(올빼미형)' 3가지로 나뉜다.

연구에 따르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는 저녁형이 수면의 질이 떨어지고 우울과 불안 등 정서적 문제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

이렇다보니 삶의 질이 낮고 알코올과 담배의 사용 등 건강하지 못한 생활 습관을 가질 가능성도 많지만 이러한 인자의 영향은 '회복탄력성'에 비하면 미미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회복탄력성이란  불리한 상황을 극복하는 개인의 역량을 의미한다. 최근 정신의학부터 심리학, 교육학에 까지 폭넓게 주목받고 있는 개념이다.

분당서울대병원 수면센터 윤인영 교수와 건국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전홍준 교수 연구팀이 분당서울대병원 직원 1,794명을 대상으로 수면의 질, 낮 졸림증, 신체피로, 우울, 불안 그리고 삶의 질과 크로노타입의 관련성을 조사해 Chronobiology International에 발표했다.

그 결과, 저녁형이 수면의 질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그 외 신체피로, 우울, 불안 그리고 삶의 질에는 회복 탄력성의 영향을 훨씬 크게 받는 것으로 드러났다.

저녁형 인간은 사회생활에 불편을 초래할 수 있는 피로나 우울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는 어쩔 수 없다는 일반적인 견해와 반대되는 것이다.

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 회복 탄력성이 높으면 저녁형인간이라도 큰 문제가 없을 가능성이 높다"면서 "사회적 리듬과 개인의 크로노타입이 불일치하는 경우 회복 탄력성을 높이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