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비소세포폐암에서 소세포폐암으로 변환하는 과정이 최초로 규명됐다.

서울대병원과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학대학원 공동연구팀은 비소세포폐암환자 가운데 2개의 특정 종양억제유전자 비활성이 변환의 원인이라고 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발표했다.

폐암은 비소세포폐암(폐암의 85%)과 소세포폐암(나머지 15%)으로 나뉘며, 비소세포폐암은 폐선암과 편평상피세포폐암, 대세포폐암 등으로 구분한다.

과거에는 흡연과 관련 있는 편평상피세포폐암의 빈도가 가장 높았으나 최근에는 폐선암이 가장 흔하다.

일부 비소세포폐암에는 상피세포 성장인자수용체(EGFR) 유전자 돌연변이를 갖고 있으며, 주로 폐선암에서 발견된다. 여성이나 비흡연자, 동양인에서 많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우리나라 폐선암환자의 약 절반은 EGFR-돌연변이가 발견된다.

이들에게는 표적치료제를 투여하는데 일정 기간 후 약제 내성이 발생해 소세포폐암으로 변환되기도 한다. 비소세포암인 폐선암에 비해 소세포폐암은 상대적으로 암세포의 성장과 전이가 빨라 환자의 상태를 빠르게 악화시킨다.

연구팀은 EGFR-돌연변이 폐선암 환자 4명을 대상으로 표적치료 전후 종양 조직을 유전체염기서열분석 기법으로 분석했다.

그 결과, 소세포폐암으로 변환된 환자는 치료 전후 모두 종양억제유전자인 TP53과 RB1가 완전히 비활성돼 있음이 확인됐다.

즉 폐선암환자의 첫 조직 진단 당시 TP53과  RB1 활성 여부를 확인하면 소세포폐암 변환 여부를 예측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유전자검사 없이 간단한 유전자 면역병리 검사만으로도 예측할 수 있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결과의 의미에 대해 "진료현장에서 지난 10년간 해결 못한 의문점을 세계 최초로 밝혀낸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