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암치료시 저항이 발생하는 것은 암 관련 단백질끼리 미치는 영향 때문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인하대의대 박헌주 교수(미생물학교실)팀은 저산소 환경의 암세포에서 과발현돼 치료 저항을 일으키는 HIF 단백질과 일반적인 환경의 암세포에서 30~50배 이상 과발현되는 단백질 NQO1의 세포수준 연구 결과를 Nature Communication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저산소 미세환경에서 NQO1 단백질이 HIF 단백질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면 암세포가 증식하고 항암제 및 방사선 치료 저항성을 증가한다.

박 교수는 암이 진행하면서 NQO1의 발현량이 증가하고 생존률을 줄어든다 사실에 착안해 HIF 단백질 발현과의 관련성을 환자 유래 데이터베이스로 검토하고 인하대병원의 연구 인프라 및 인체유래물은행의 환자 샘플을 활용하여 재검증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암 이외의 저 산소 질환인 뇌졸증, 말초혈관질환 및 뇌질환 연구에서도 적용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암이 커지면 암덩어리 내부가 저산소 상태가 되면서 항암제와 방사선 치료에 저항을 보이며 치료가 어려워지는데 여기에는 HIF 단백질이 관련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세계적으로 HIF 단백질의 발현 및 안정을 막는 암치료법의 연구개발이 진행되는 것도 그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의 선도연구센터지원사업 기초의과학분야(MRC)와 원자력연구기반확충사업 원자력선진기술연구센터의 지원을 받았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