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갑상선암 수술을 받은지 5년이 지나면 뼈의 강도가 약해진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내분비내과 문재훈, 김경민, 장학철 교수 연구팀은 골강도 측정법인 해면질골 미세구조 분석법을 이용해 골다공증검사에서 이상이 없어도 골강도가 줄어들 수 있다고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에 발표했다.

해면질골 미세구조분석법은 단순한 뼈의 양 측정 외에 뼈의 역학적 구조까지를 평가한다.

이번 연구 대상자는 갑상선암 수술 후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을 시행하며 추적관찰 중인 폐경 후 여성 환자 273명.

이들의 검사 결과를 이용한 연구팀이 내린 결론은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의 기간이 길어질수록 해면질골 미세구조를 보여주는 Trabecular Bone Score(TBS)가 감소한다는 것이었다.

특히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이 3년 미만인 경우에는 TBS가 정상에 가까운 반면 5년 이상인 경우 TBS 감소가 뚜렷했다.

또한 혈중 갑상선자극호르몬이나 갑상선호르몬의 농도는 골밀도 및 해면질골 미세구조와 무관한 반면 억제요법이 길수록 해면질골 미세구조가 크게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제1저자인 문재훈 교수에 따르면 이러한 관련성은 기존 골밀도검사로는 알아낼 수 없다.

김경민 교수도 "갑상선 호르몬의 증가 및 갑상선자극호르몬의 감소로 인한 골흡수의 증가와 골형성 감소가 해면질골 미세구조에 변화를 일으키며, 이는 뼈의 치밀도 변화가 뚜렷이 나타나기 전에 상당히 진행한다"면서 단순한 골밀도 측정만으로는 갑상선호르몬에 의한 골강도 약화를 측정하는데 한계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장학철 교수는 "이번 연구의 대상자가 50세 이상의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한 만큼 모든 환자로 일반화 할 수는 없다"면서 "환자의 갑상선암 재발위험도에 따라 장기간의 갑상선자극호르몬 억제요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