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암환자의 임상참여시 정확한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북대병원 박종혁 교수와 서울대암병원 암건강증진센터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연구팀은 2012년 전국 13개 암센터의 암환자와 보호자 725쌍과 이들을 치료하는134명의 암전문의를 대상으로 임상시험(1상) 참여에 대한 태도를 조사해 Japanese Journal of Clinical Oncology에 발표했다.

항암제는 일반약과 달리 독성이 강할 수 있어 동물실험을 마친 항암제는 기존 항암치료에 반응하지 않는 암환자에 투여해 독성과 효과에 대한 기초 정보를 얻게 된다. 이것이 1상 임상시험이다.

독성이 강해 부작용이 있을 수 있어도 투여하는 이유는 다른 선택이 없기 때문.  암환자들이 절박한 상황에서 막연하고 과도한 기대로 참여하는지, 아니면 의사나 가족의 권유로 원치 않지만 참여하는지가 의료 윤리의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연구팀은 대상자에게 기존 치료법이 듣지 않고 3개월 정도 살 수 있다는 진행성 암환자의 상황을 표준화 시나리오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임상시험에 참여하면 10명에 1명은 암이 줄어들 수 있고, 3명은 진행은 커지지만 않게 할 수 있고, 6명은 약이 듣지 않고 암이 더 커질 수 있으며, 효과가 좋으면 2~3개월 정도 더 살 수 있지만, 절반정도는 약 투여로 심한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는 가상 시나리오도 보여주었다.

그런 다음 환자와 보호자, 그리고 의사에게 각각의 입장에서 임상시험 참가 의지와 임상시험 참가를 권유하겠는지 물었다.

그 결과, 환자 입장에서 임상에 참여하겠다는 응답은 환자의 54%, 보호자의 62%, 의사 63%였다. 보호자의 입장에서 임상 참여를 권고하겠다는 응답은 환자의 55.6%, 보호자의 64.7%, 의사의 70.9%였다.

그리고 의사 입장에서 임상시험 참여를 권유하겠다는 응답은 환자의 66.1%, 보호자의 70.8%, 의사의 76.1%였다.

연구팀은 이같은 응답 결과에 대해 "환자는 보호자나 의사 보다 임상참여에 덜 적극적이며, 정보가 정확히 주어지면 환자들이 충분히 그 결과를 해석할 수 있으며, 막연한 기대로 위험한 임상시험을 받지는 않는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또한 의사 입장에서 참여를 권유하겠다는 응답이 의사에서 높은데 대해 "원치않는 임상을 강요하는게 아니라 참여 가능한 임상이 있으면 환자에게 권유를 해보는 것이 의사의 역할이라는 의식을 반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신동욱 교수는 "상당수의 의료진들은 신약 임상시험의 권유에 대해 윤리적 갈등을 느낄 수 있다. 그러나 정보만 잘 제공되면 환자와 보호자들도 합리적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난 만큼 위험과 이득을 잘 설명하고 선택하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종혁 교수는 "최근 맞춤형 표적치료의 발달로 여러 항암 신약들이 개발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일반적인 위험-편익 수준에서라도 절반 이상의 환자와 보호자들은 임상시험 참여의사를 보이는 만큼, 다른 대안이 없는 암환자들에게는 신약 임상시험에 대한 정보가 충분히 제공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