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최근 중중 외상소아환자의 사망사건과 관련해 대한의사협회가 응급의료 강화 정책을 위한 5가지 필수 조건을 제시했다.

우선 응급의료에 대한 일관되고 지속적인 평가 및 지원 강화다. 아울러 효율적인 응급환자 전원시스템도 필요하다.

의협 김주현 대변인에 의하면 현재의 전원시스템은 지방의 감염질환자가 서울의 대형병원 응급센터로 직접 갈 수 있는 구조인 만큼 경증과 중증 환자의 구별이 필요하다. 같은 권역응급의료센터에서도 중증과 경증을 나누어 진료하는 시스템의 필요성도 제시됐다.

아울러 응급의료체계와 의료전달체계 간의 비대칭 문제도 지적됐다. 응급진료 특성상 자원 뿐 아니라 배후 임상과와 의료기관의 협력 및 자원이 필요한 때문이다.

여기에는 의료인과 의료기관이 의료전달체계와 응급의료체계에서 각각의 역할 수행시 발생하는 인적, 물적 자원의 비대칭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정책개선도 필요하다는게 의협의 설명이다.

끝으로 의협은 지방 및 응급의료 취약지에는 의료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만큼 지원책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한편 경상남도의사회는 이번 소아응급환자 사망사건의 원인은 하드웨어가 아니라 환자상태의 전달, 전원 조정역할 등 소프트웨어 부재라고 지적했다.

의사회는 응급의료 강화를 위해서는 인적자원의 육성과 함께 병원내적 환경의 문제점도 파악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현실적으로 흉부외과, 외상외과, 소아외과 등의 경우 매일 비상대기 당직과 병원의 요청 및 진료실적 보충을 위해 다른 과 수술까지 맡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지방자치단체에 확실한 의무를 부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응급의료가 시간과의 싸움인 만큼 지자체내에서 이루어지는데도 불구하고 지자체의 역할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의사회는 전국 및 권역별 전원조정센터의 재구축의 필요성도 강조하면서 권역마다, 그리고 단일한 전화번호를 사용하며 응급의학 전문가의 지휘를 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