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간암 수술 사망률은 간내 담관암에서 가장 높고, 간을 많이 절제할 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2014년 7월~2015년 6월까지 약 1년간 국내 121개 병원(18세 이상 입원환자 5,37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간암 수술사망률 평가를 1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국내 간암수술 시행률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2.7배 간암수술을 많이 받았다. 간암수술환자 100명 중 남성 66명(66.3%)은 간에만 국한된 간세포암으로, 여성의 약 절반(49.4%)은 간으로 전이된 전이암으로 수술을 받았다.

연령 별로는 50대 33.8%, 60대 30.7%로 50대∼60대가 전체 간암수술 환자의 64.5%를 차지했다. 40대 이하는 18.2%였다.

간암수술 환자 100명 당 사망률을 보면 간내 담관암이 2.2명(2.17%)으로 가장 많았으며, 간세포 암 0.9명(0.93%), 간 및 간내 담관의 이차성 악성신생물(전이암) 0.7명(0.72%) 순이었다.

간암수술 종류 별 사망률을 보면 부분절제술 0.5명(0.52%), 구역절제술 0.4명(0.36%), 간엽절제술 1.6명(1.55%), 3구역절제술은 2.2명(2.22%)으로 간을 많이 절제할수록 사망률이 높았다.

간암 수술 사망의 가장 큰 원인은 절제 후 남은 간이 작거나 혈류의 방해·담관 폐쇄·약물유발 손상·바이러스 재활성화·심각한 패혈증 컨디션 등 때문이다. 또한 담즙 누출, 급성신부전증, 복수도 원인이다.

한국의 간암 발병률은 다른 나라에 비해 높았다. 간암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32명으로 영국(8.4명)에 비해 약 4배 높았다. 남성의 경우 74.8%로 일본(66.6%)과 영국(64.3%)에 비해 높았다.

50대 미만에서는 우리나라가 약 41%로 일본(10%)과 영국(18%)에 비해 높았다. 하지만 60~80대의 고령층의 경우 약 57%로 일본(90%)와 영국(82.5%)에 비해 낮았다.

40대는 한국와 일본 및 영국 모두 여성보다 남성에서 훨씬 높았다(각각 6.1배, 일본 6.6배, 2.1배).

발병률과 달리 수술 사망률은 약 3배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간암 수술 사망률은 환자 100명 당 0.9명인 반면 중국은 2.4명, 대만은 3.6명, 일본은 2.7명, 싱가포르는 3.0명이었다. 미국의 경우 5.2명이었다.

심사평가원은 외국의 경우 간에만 국한된 간세포 암에 대한 수술 결과인 반면, 우리나라는 간암(간세포 암, 간내 담관암) 뿐만 아니라 전이암 등의 수술 결과도 포함된 만큼 더욱 우수하다고 설명했다.

특히 간암 및 담도암(클라스킨 종양)을 포함한 2012년 수술 사망률 평가 보다 0.7% 포인트 낮아진 1.18%였다.

심사평가원 윤순희 평가2실장은 "이번 간암수술 적정성평가는 간암수술에 따른 수술사망률 만을 평가한 만큼 각 기관별 평가대상 환자수가 적어 기관별 등급산출시 변별력이 떨어질 수 있어 사망률에 따른 평가 등급은 산출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한편 간암수술 평가는 이번이 처음이며 앞으로 2년에 한번 실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