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히거나 좁아진 혈관에 금속 그물망을 넣어 혈관을 넓히는 스텐트. 일단 삽입한 후에는 뺄 수가 없으며 심장혈관질환이 재발했을 경우 재수술이나 치료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극복한게 체내에서 일정기간 후에 녹는 스테트다. 최근 국내 여러 병원에서 녹는 스텐트 시술이 심장혈관질환 치료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스텐트 수술 1년 후면 혈관의 자연재생능력이 작동하는 만큼 1년 후부터 녹기시작해 4년이면 체내에서 완전히 녹아 없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이론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실제 효과는 기대치 이하라는 메타분석 결과가 나왔다.

분당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강시혁, 연태진, 채인호 교수팀은 전 세계에서 보고된 147개의 무작위배정 임상연구(12만 6천명 이상)의 분석 결과를 JACC Cardiovascular Intervention에 발표했다.

결과에 따르면 녹는 스텐트의 1년 치료 성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 금속 스텐트에 비해 녹는 스텐트에서 스텐트 혈전증 발생률이 최대 3배 높았다. 심근경색 위험도 상대적으로 높았다.

교수팀에 따르면 녹는 스텐트에서 혈전증 발생률이 높을 것이라는 사실은 예상됐던 일이다. 이유는 그물 철망의 두께. 최근 금속 스텐트는 60-80μm로 머리카락보다 얇게 만들어서 스텐트를 엮지만, 녹는 스텐트는 아직 소재 개발이 완벽하지 않아 120μm로 매우 두껍다는 것이다.

하지만 더 얇고 좋은 소재로 개발되고 임상경험이 축적되면 치료성적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연태진 교수[사진]는 "녹는 스텐트의 장점과 효과를 발휘하는 시점이 시술 1년 이후인 만큼 1년 성적만으로 모든 결론을 내리기 어렵다"면서 "스텐트 소재와 시술 방법에 따른 장기간 치료 성적들을 관심 있게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가 녹는 스텐트를 쓰면 안된다는 것을 보여주는게 아니다"면서 "적절한 환자에서 선별적으로 세심하게 시술한다면 더없이 좋은 치료방법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