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다공증치료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스포스포네이트가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초기 치료에는 방해가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비스포스포네이트는 골절 예방효과가 뛰어나지만 턱뼈괴사, 비전형 대퇴골골절 등의 부작용이 보고돼 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정형외과 김영훈, 하기용 교수팀은 골다공증성 척추골절 환자 105명을 비스포스포네이트 복용 경험자 66명과 무경험자 39명으로 나누어 골절 발생 후 3개월간 관찰한 결과를 Osteoporosis International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경험자에서는 척추체내 균열발생 위험이 무경험자 보다 4.8배 높게 나타났다. X-레이 검사 결과에서도 경험자의 30%인 20명에서 척추체내 균열이 발생해 무경험자(8명) 보다 유의하게 많았다. 

척추체내 균열이란 골다공증성 골절 환자가 정상적으로 뼈가 붙지 못해 척추 주변의 조직이 괴사해 척추 사이에 틈이 생기는 것을 말한다. 균열이 심할 경우 골절 치료가 어렵다.

골다공증의 가장 심각한 후유증은 척추 골절이다. 팔목 골절이나 엉덩이뼈 골절은 외상이나 충격을 받아야 일어나지만 척추 골절은 자신이 느끼지 못하는 사소한 충격만으로도 일어나는 만큼 발견도 어렵다.

특히 고령화시대가 되면서 골다공증의 중요성은 높아지고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청구자료를 분석(2007~2011년)에 따르면 노인의 골다공증 골절로 인한 사회적 부담은 1조 666억원에 달한다.

환자 1인당 부담액도 159만원으로 노인 연간 소비지출의 10%를 차지해 사회경제적 부담도 높이고 있다.

김영훈 교수는 "골다공증 치료제라도 골흡수억제제는 정상적인 골절 치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 초기 치료에는 골흡수제 보다는 골형성촉진제를 사용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