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뇌졸중전문치료실이 수도권에 몰려있는 등 지역 불균형이 심각하며 이로인해 뇌졸중 사망률에도 지역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뇌졸중학회(이사장 정진상, 회장 이병철)가 17일 발표한 국내 뇌졸중 진료 병원 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140개 병원 가운데 약 45%인 62개 병원이 뇌졸중전문치료실을 운영 중이며 이 가운데 58%가 수도권에 몰려있다.

17개 권역별 분포를 보면 심각성을 알 수 있다. 인구 100만명 당 뇌졸중전문치료실은 서울이 2.01개 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이어 대구, 제주 권역이 1.51~2개, 인천, 경기, 강원, 대전, 광주, 전남, 경남이 1.01~1.5개로 그 뒤를 이었다. 부산과 충북 권역은 0.51~1개였으며, 울산과 경북, 충남 지역은 0~0.50개였다.

이같은 지역 편차는 뇌졸중 사망률에서도 그대로 나타났다. 학회가 2011~2013년에 전국 251개 시군구 평균 뇌졸중 사망률 분석에 따르면, 전국 17개 권역 기준으로 평균 사망률의 최저 지역 1위는 제주특별자치도(인구 10만명 당 27명), 2위는 서울특별시(29명)로 최고지역인 울산광역시(44명)과 약 1.6배 차이를 보였다.

구와 군을 기준으로 하면 더 큰 차이를 보였다. 사망률이 최저인 서울시 서초구는 10만명 당 19명인 반면 최고인 경상남도 고성군은 57명에 달해 지역간 편차가 최대 3배로 나타났다.

상황이 이런데도 설치율이 낮은 것은 인적자원 부족(78.4%)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다. 이어 별도 수가 부재(64.0%), 공간 부족(44.6%) 등이었다.

대한뇌졸중학회 정진상 이사장은 "전세계적으로 뇌졸중전문치료실을 확대해 정맥 내 혈전용해제의 투여 및 동맥을 통한 혈전제거술의 시행 등 최신 의료 기술을 활용한 초급성기 및 급성기 치료 효과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면서 "뇌졸중전문치료실의 지역적 불균형은 지역 간 의료 서비스의 격차를 유발하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의 치료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적극적인 개선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학회는 뇌졸중 사망률의 지역 편차 해소 방안으로 △국가 및 지자체 차원에서 지역(일차)뇌졸중센터 설립 추진, 지역병원에 재정 및 인력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 △효율적인 뇌졸중센터의 운영을 위한 119 및 응급환자 이송시스템과의 연계 및 지역네트워크 구성 △지역뇌졸중센터에 대한 학회나 기타 전문화된 민간 독립기구에서의 인증방식 도입 △진료 왜곡, 과중한 업무 부담, 병원 서열화 등의 문제를 야기하는 심평원 뇌졸중 평가에 대한 전문적인 재검토 및 시정 등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