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백질의 발현을 조절하면 통풍이나 급성심부전 등 난치성 염증질환의 치료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충남대 조은경 교수팀(한양대 양철수, 건양대 김좌진 교수) 고아핵수용체(Small Heterodimer Partner, SHP)가 결핍되면 염증지수가 높아져 사망에 이를 수 있지만 이를 보충하면 정상으로 회복되고 생존율도 높일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Nature Communications에 발표했다.

교수팀에 따르면 SHP가 결핍된 쥐에 통풍 유발 물질을 투여하자 염증지수가 약 2배 높아졌지만, SHP 보충 후 곧 정상으로 회복됐다.

또한 SHP가 결핍된 생쥐는 급성신부전이 일어나 72시간 내 모두 사망한 반면 SHP를 보충한 쥐는 염증이 효과적으로 억제돼 90% 이상의 생존율을 보였다.

교수팀은 또한 SHP가 세포 속의 다단백 염증복합체(임플라마솜)를 구성하는 단백질과 직접 결합해 인플라마솜의 활성을 조절해 염증을 효과적으로 억제한다는 사실도 발견했다.

조 교수는 "이번 연구는 SHP를 이용해 난치성 염증질환을 치료할 수 있음을 증명한 첫 사례"라며 "SHP를 타깃으로 하는 치료제 개발에 중요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했다"고 연구의의를 밝혔다.

이버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가 추진하는 기초연구사업(선도연구센터지원)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