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그렌증후군의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IL(인터루킨)-33 단백질과 ST2 수용체의 메커니즘이 규명됐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류마티스내과 곽승기·정승민 교수팀은 쇼그렌증후군 환자 55명과 나이와 성별이 유사한 정상인 48명의 혈액과 진단적 목적으로 침샘 조직검사를 시행한 25명의 침샘조직을 조사한 결과,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혈액 및 침샘조직내 IL-33과 ST2의 농도가 정상인에 비해 유의하게 높다고 Journal of Rheumatology에 발표했다.

쇼그렌증후군은 외분비샘에 림프구가 스며들어 만성 염증이 발생하는 자가면역질환으로서 침과 눈물이 마르는 구강건조증과 안구건조증이 특징이다.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가 관절, 피부, 소화기, 호흡기 등 전신을 침범하면서 근육통이나 만성 소화장애, 기관지염 등 다양한 증상을 일으키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원인을 발견되지 못하고 있다.

교수팀은 IL-33과 수용체 ST2의 상호작용이 다른 류마티스 질환의 병인에 관여하는 것에 착안했다.

혈액내 IL-33과 ST2의 발현량이 신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쇼그렌증후군과 정상인을 대상으로 비교했다.

그 결과,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혈액 내 IL-33과 ST2 농도가 정상인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ST2는 쇼그렌증후군을 앓은 기간이 오래됐거나 질환 활성도가 높을수록 증가했다.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혈청 및 침샘 조직에서 IL-33과 ST2의 발현이 증가하고, 질병의 경과나 활성도에도 IL-33과 ST2 유의하게 관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쇼그렌 증후군의 중요 인자인 인터페론 감마로 자극하면 상피세포에서 IL-33의 발현이 증가한다는 사실도 확인됐다

교수팀은 이번 결과에 대해 "쇼그렌증후군 환자의 침샘 조직 내 IL-33이 분비샘의 내피세포 및 외피세포에 주로 분포해 염증 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면서 "향후 임상 적용 가능한 치료법 개발을 위한 새로운 표적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