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립선암 수술 후 적출된 조직에서 악성도를 예측하는 유전자 변이가 최초로 발견됐다.

분당서울대병원 비뇨기과 변석수, 오종진 교수팀은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 257명의 DNA를 분석한 결과, 단일염기다형성 rs33999879의 변이가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 후 악성도 증가에 유의한 인자라고 PLOS ONE에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인 전립선암과 유전적 정보에 대한 전장 유전체 연관분석 연구결과 최초 보고로서 전립선암의 발생률, 악성도, 치료에 대한 반응은 개인별 유전자에 따라 다르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교수팀은 근치적 전립선적출술을 받은 257명의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 DNA에서 242,221개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분석했다.

그 결과, 15개의 단일염기다형성이 저위험 전립선암 환자의 수술 후 악성도 증가를 예측하는 인자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특히 3번 염색체에 존재하는 단일염기다형성 rs33999879에 변이가 있는 경우 수술 전 조직검사에서는 암의 악성도가 낮았지만 전립선적출술 후에는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rs33999879는  세포유사분열시 염색체 응축과 DNA 수선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진행된 간암 및 림프종과 관련한다고 알려져 있다. rs33999879가 전립선암과의 관련성이 제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를 활용하면 전립선암의 진행속도가 느리다는 특성을 감안해 경과를 관찰하면서 치료할지 아니면 수술할지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환자의 상태나 예후에 대한 예측이 가능해진 만큼 한국인 개인 맞춤의학의 적용 가능성을 처음으로 제시한 것"이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