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 공여자에서는 임신고혈압 및 자간전증 위험이 2.4배 높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연구결과는 NEJM에도 발표됐다.
발생률 11%, 대부분 임신합병증 없어
이번 연구 대상자는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의료데이터베이스에서 1992년 7월 1일~2010년 4월 30일에 신장을 제공하고, 이후 추적기간 중에 1회 이상 임신한 여성 85명을 선별했다.
이어 공여자 1명 당 나이, 신장 적출년도, 거주지, 수입, 적출 전 임신횟수 등이 일치하는 비공여 여성 6명(총 510명)을 무작위 선별해 추적했다.
주요 결과는 임신고혈압 또는 자간전증 진단이며, 이들에 대한 개별 평가, 이밖에 모체 및 태아의 결과도 평가했다.
추적기간 중 임신은 공여군 131군, 비공여군 788건으로 나이(중앙치)는 양쪽군 모두 29세였다.
공여군의 임신고혈압 또는 자간전증의 발생률(15건, 11%)은 비공여군(38건, 5%) 보다 높았다(오즈비 2.4).
항목별 평가에서도 공여군이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임신고혈압, 자간건증 오즈비 각각 2.5와 2.4).
한편 공여군과 비공여군에서 조산(8% 대 7%) 및 저출생체중(6% 대 4%)의 발생률에 유의차가 없었으며, 양쪽군 모두 산모사망, 사산, 신생아사망은 없었다. 공여군 대부분은 신장 제공 후 임신에 합병증을 동반하지 않았다.
가르그 박사는 이번 연구의 한계점으로 혈압과 비만지수(BMI), 신장기능, 복약상황, 인종 관련 데이터가 부족했다는 점, 위험 평가의 신뢰구간이 넓다는 점을 들었다.
또 "공여군과 비공여군에서 임상증상이 같더라도 의사가 임신고혈압 및 임신고혈압신증으로 진단, 기록한 경우에는 공여군이 많았을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