같은 급성심근경색환자라도 다른 혈관에도 동맥경화가 진행된 경우에는 심근경색 발생 후 30일 이내에 사망할 확률이 2.5배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심장내과 박덕우 교수는 미국 듀크의대 임상연구소 파텔 교수와 함께  지난 20년 동안 수행된 8개의 대규모 국제적 임상연구를 통해 얻은 7만 명의 데이터와 지난 10년 동안 한국과 듀크의대에서 모은 각 4만 명의 데이터까지 총 15만 명의 급성심근경색 환자의 진료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를 JAMA에 발표했다.

그 결과, 급성심근경색 환자 중 절반 이상은 심근경색이 발생한 심장혈관 외에 다른 혈관에도 심한 협착이 있었다.

급성심근경색 발생 후 30일 이내 사망률은 다른 혈관에도 동맥경화가 있는 경우 4.3%로 없는 경우 1.7%에 비해 2.5배 이상이었다. 1년 후 사망률 역시 각각 7%와 3%로 2배 이상 차이를 보였다.

급성심근경색은 심장이 뛸 수 있도록 혈액을 공급하는 3개의 관상동맥 중 하나가 막혀 심장근육이 괴사되어 생기는 질환.

나머지 2개도 동맥경화로 협착돼 있는 경우가 많지만 스텐트 치료를 할지 약물치료를 할지 사실상 기준이 없었다.

박 교수는 이번 연구의 의미에 대해 "향후 여러 혈관에 동시 다발적으로 병이 있는 심근경색 치료 예후를 예측하고 조기에 약물이나 스텐트 치료 등 적극적인 치료법을 선택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