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장기기증 역량은 세계적 수준으로 성장했지만 기증 절차는 그에 못미친다는 지적이 나왔다.

대한이식학회는 3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현재 장기기증과 인체조직기증 절차가 분리돼 있다. 따라서 장기와 인체조직 모두를 기증할 경우 각각 다른 기관으로부터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통합된 기증 절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장기든 인체조직이든 기증 내용에 상관없이 기증자 선정을 비롯해 장기 및 조직이 구득되는 기증  모든 과정이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것이다. 

기증자 중심이라는 말은 기증자 선정에서 부터 시작해 장기 및 조직이 구득되는 기증 전 과정이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뜻이다.

장기는 기증 절차와 동시에 수혜자가 결정되지만, 인체조직은 기증 이후 인체조직 가공 단계를 거쳐 불특정 수혜자에게 전달되는 만큼기증자의 의지는 배제되고 기업의 이윤추구에 좌우될 수 있는 만큼 기증자 중심의 기증 절차가 더욱 중요하다.

전 세계보건기구(WHI) 이식담당관 리크 노엘(Luc Noel) 박사[사진]는 30일 기자간담회에서 "장기든 인체조직이든 기증에는 우선 휴머니즘이 필요하다"며 기증자 위주 절차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기증 시스템은 수혜자 중심을 돌아가고 있어 기증자는 장기 제공자라는 존재에만 그쳐선 안된다는 것이다.

현재 인체자원의 활용은 장기와 인체조직 이식에 그치지 않고 세포치료, 안면이식, 수부이식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다.

학회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전문 관리를 위한 관련 법률과 체제의 정비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생명자원의 관리 제도는 국가별 특수성을 감안해야 하는 만큼 우리나라에 적절한 제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이식 관계자들의 적극적인 의견수렴이 필요하다고 학회는 덧붙였다.

저작권자 © 메디칼트리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